콘텐츠목차

나다문화사업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201
한자 -文化事業團
영어의미역 Nada Culture Management Team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동 6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소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대안 문화 단체
설립자 박태룡
전화 051-242-9402|010-4546-9402
홈페이지 나다문화사업단(http://cafe.daum.net/2002wa/)
설립 시기/일시 1993년 - ‘전문 청소년 극단 눈동자’ 설립
개칭 시기/일시 2002년연표보기 - 전문 청소년 극단 눈동자에서 청소년문화공동체WA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10년연표보기 - 청소년문화공동체WA에서 나다문화사업단으로 개칭
최초 설립지 전문 청소년 극단 ‘눈동자’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중앙우체국 후문 사진관 지하
주소 변경 이력 나다문화사업단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2가 28[용두산공원 입구]
현 소재지 나다문화사업단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동 611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동에 있는 연극과 문화 예술 행사 관련 사회적 기업.

[설립 목적]

‘나다’의 속뜻은 여러 가지다. 즉 ‘태어나다’의 나다[Born], ‘존재의 표현’의 나다[It's me!], 그리고 또 하나 ‘없다’의 나다[無]이다. 나다문화사업단은 다양한 연령, 다양한 문화의 포괄적인 수용, 세상을 같이 살아가는 ‘예술 공동체’를 지향하며 모든 이들이 생활 속에서 문화적 삶을 향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설립 목적은 ‘자연과 사람과 일이 조화롭게 만나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 가치를 스스로 가지게 한다.’이다.

[변천]

1993년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 중앙우체국 후문 한 사진관 지하에서 창단한 ‘전문 청소년 극단 눈동자’는 괴정, 문현, 구서, 사상 등 여러 지역을 다니며 활동하였다. 2002년 청소년 문화 확대의 필요성을 느끼고 비영리 민간단체인 ‘청소년문화공동체WA’를 만들어 청소년 연극 놀이 교실, 장애인과 함께하는 연극 공연, 장애인 통합 문화 예술 교육 사업 ‘넝쿨’ 등을 진행하였다.

2009년 3월 노동부 지원 문화 예술 분야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에 선정되어 ‘나다문화사업단’을 결성하였다. 같은 해 문화체육관광부 지원 생활 문화 공동체 만들기 전국 시범 사업에 선정되었으며, 동서대학교 임권택 영화예술대학 연기과 및 부산 영상예술고등학교와 산학 협력 자매결연 협약을 체결하기도 하였다.

2010년 문화 예술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을 받았으며, 같은 해 11월 용두산 공원 에스컬레이터 입구에 ‘용두산 소극장’을 열었다가 이듬해 경영난으로 문을 닫았다. 2011년 부산문화재단 공간 나눔 뱅크 사업에 선정되어 연지동 정다운 약국 4층에 나다문화사업단 공간을 마련하여 이전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2009년 문화관광부가 공모한 ‘생활 문화 공동체’ 사업자로 선정되어 평소에 예술을 접할 기회가 적었던 영구 임대 아파트 주민들에게 각종 예술 교육을 실시하여 자생적인 시민 예술단을 만들고, 초등학교를 순회하며 ‘함께 만드는 세상’을 공연하였다.

2010년 온천천에서 지구의 날을 기념하는 환경 퍼포먼스를 개최하였다. 용두산 소극장 시절 영어 아동극 「오즈의 마법사 도로시 따라가기」, 「도불유희」, 「Where are you, 빨간 피터?」 등을 제작해 공연을 올리기도 하였다.

[현황]

나다문화사업단은 ‘부산 청소년 축제 반’을 개최하는 등 청소년 연극 공연, 문화 행사 개최, 청소년 문화 예술 지도자 과정 등의 문화 예술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2012년 10월 청소년 창작 토론극 「숨겨진 폭력」을 민주 공원 소극장에서 공연했으며, 7월 연지문화원 및 문화교육연구소에서 청소년 문화 예술 교육 지도자 양성 과정[Ⅶ]을 진행하였다.

[의의와 평가]

나다문화사업단은 청소년, 장애인 문제를 다루는 연극 및 문화 행사, 문화 예술 교육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부산 지역 최초의 문화 예술 사회적 기업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