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657 |
---|---|
한자 | 龜浦驛-鐵道- |
영어의미역 | Gupo Station[Railway]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106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규택 |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경부선의 기차역.
[건립 경위]
구포역(龜浦驛)[철도]은 경부선 철도 부설권을 얻은 일본이 1901년 10월 초량과 구포 사이 17㎞ 구간의 공사를 착수해 1903년 11월 1일 개통되었으며, 경부선 전체 노선이 개통되던 1905년 1월 1일부터 영업을 개시하였다. 구포역이 개통되면서 경부 축의 화물 및 여객 수송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일찍부터 수운(水運)으로 접근 가능하던 경상남도에서 구포 지역으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변천]
1985년 12월 30일 구 역사 자리에 현재의 역사를 준공하였다. 1989년 8월 16일 구포~해운대 간 동서 통근 열차가 운행을 개시하였다. 1993년 3월 28일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가 발생하여 78명의 인명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2002년 12월 2일 동서 통근 열차가 폐지되었으며, 2004년 4월 1일부터 KTX가 정차하였다. 2005년 11월 KTX 정차 등의 이유로 이루어진 역사의 증·개축 공사가 완료되었고, 2005년 10월에는 부산 지하철 3호선이 개통되면서 교통이 편리해졌다. 2006년 11월 15일에는 구포역에서 이루어지던 화물 취급이 중지되고, 2010년 11월 1일 경부 고속선 2단계 구간 개통으로 경주역 및 울산역이 개통되면서 KTX의 정차 횟수가 대폭 감소하였다.
[구성]
구포역은 건축 면적 약 1,521㎡의 2층 건물로 지상 1층에는 매표소와 화장실, 잡화점이 있고, 2층에는 맞이방과 경주빵, 삼성여행사, 푸드 카페가 있다. 승강장은 2면 4선으로 상행 2번은 밀양·동대구·대전·천안아산·광명·서울 방면이고, 하행 3번은 사상·부산·부전·해운대 방면이다. 역내에는 32대 주차가 가능한 주차장이 있다.
[현황]
구포역은 사상역과 화명역 사이에 있는 서울 기점 425.2㎞ 위치에 있다.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소속이다. 구포역에는 경부선 KTX·새마을호·무궁화호가 정차하고, 하루에 두 차례 영주행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매주 금·토요일 오후 10시 46분에는 강릉행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목포행 무궁화호는 오후 1시 13분에, 순천행 무궁화호는 하루에 세 차례 정차한다. 구포역은 도시 철도 3호선 구포역과 직선거리로 140m가량 떨어져 있으며, 육교로 연결되어 환승이 편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