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653
한자 京釜高速線
영어의미역 Gyeongbu Express Line
이칭/별칭 경부 고속 철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규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속 철도
길이 346.4㎞
차선 2차선
1,435㎜
준공 시기/일시 2010년 11월 1일연표보기 - 동대구~경주~부산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9년 7월 15일 - 본격적인 기술 조사 착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6월 - 고속 철도 세부 노선 확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 1단계와 2단계로 나누어 추진되는 것으로 변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4월 1일 - 서울~동대구 개통
전구간 경부 고속선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
해당 지역 경유 구간 경부 고속선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역과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울역을 잇는 고속 철도 노선.

[명칭 유래]

경부 고속선(京釜高速線)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고속 철도 노선이라는 의미에서 두 지역 명을 조합해 만든 명칭이다.

[제원]

경부 고속선의 길이는 346.4㎞이고 전용 선로 궤간은 1,435㎜ 표준궤 노선이다. 전 구간이 복선이며 전철화[교류 2만 5000V 60㎐]되어 있다. 신호 방식은 TVM 4330이다. 2010년 3월 2일 국내 기술로 제작한 KTX-산천이 운행을 시작하였다.

[건립 경위]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 한국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인구와 물류가 대도시, 특히 수도권에 집중됨에 따라 경부선에 교통량이 집중하고 물류비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려는 방안으로 경부 고속선 건설이 추진되었다. 경부 고속 철도 사업의 본격적인 논의는 한국과학기술원[KIST]이 독자적으로 약 3년[1978. 11~1981. 7]에 걸쳐 진행한 연구 보고서 「대형 화물 수송체계 및 교통 투자 최적화 방안」에 서울~부산 간 새 철도의 건설을 제의하게 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보고서에 의하면 경부선 철도는 1989년에 전 구간의 절반 이상이 한계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면서 2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경부선 복선을 신설하여 수송 능력을 증가시키는 방안이고, 둘째는 새로운 경부선 건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여객 전용 고속 철도를 건설하는 것이다. 이후 고속 철도 건설 논의는 88 서울 올림픽 개최를 위한 막대한 재원 소모로 인해 무기한 연기되었으나 제6 공화국이 출범되면서 정치·경제 이슈로 급부상하여 제6차 경제 사회 발전 5개년 계획[1987~1991]에 고속 철도의 건설이 명시되었다. 이후 1989년 7월 본격적인 기술 조사가 착수되었다.

1992년 6월 한국고속도로철도건설공단이 발족되고 경부 고속 철도 세부 노선이 확정되었다. 1997년 말에 시작된 외환 위기로 인해 대형 국책 사업에 대해 재검토를 하면서 서울~부산 전 구간에 고속 철도를 건설하려던 당초의 계획이 1단계와 2단계로 나누어 추진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1단계로 서울~대구 간 고속 철도를 신설하고, 대구 이남은 기존 경부선을 전철화하여 이용하는 것이었고, 2단계에서 대구~경주~부산 노선에 새로운 고속 철도를 건설하는 것으로 계획이 수정되었다.

[변천]

2004년 4월 1일에 서울~동대구 간 1단계 경부 고속 철도가 개통되며, 동대구 이남은 기존 경부선을 이용하며 일반에 영업을 개시하였다. 2단계 공사에서는 본래 동대구~경주~부산 구간에 (신)경주역만을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울산역 설치에 대한 요구가 강해 2004년 2단계 건설 공사에 울산역 설치가 추가되었다. 동대구역에서 부산역까지의 2단계 구간은 2010년 10월 28일 개통되었고, 2010년 11월 1일부터 정식 운행을 시작하였다.

[현황]

경부 고속 철도 개통 전까지는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가장 빠른 열차인 새마을호가 약 4시간 10분이 소요되었으나, 이후 시간이 단축되었고 2010년 경부 고속 철도 전용 노선이 완전 개통되면서 약 2시간 20분으로 단축되었다. 경부 고속선은 개통 이수 지속적으로 승객 수의 증가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2006년 3601만 7000명에서 2011년에는 4964만 6000명으로 증가를 보였다. 경부 고속선의 개통으로 경부 축의 도시 간 수송을 담당하고 있는 교통 형태에도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표 참조]. 특히 서울~부산 혹은 서울~대구 간을 운항하는 항공기의 수송 분담률이 감소한 반면 철도의 수송 분담률이 크게 증가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산광역시 내의 경부 고속선은 양산에서 경부 고속 도로 입구까지의 노포 터널과 경부 고속 도로에서 부산진역까지 이어지는 금정 터널을 통과해 부산역으로 이어진다. 부산광역시 내의 구간 대부분이 산지와 지하를 통과하는 터널 구간이다. 또 경부 고속 본선과 경부 본선을 연결하는 부산 연결선이 있어, 부산역에서 구포로 연결된다. 부산광역시 내의 KTX 정차역으로는 부산역, 구포역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