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746
한자 釜山藝術中學校
영어의미역 Busan Art Middle School
이칭/별칭 부산예중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체육공원로 20[부곡동 산7-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정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립 예술 중학교
설립자 동래학원
전화 051-518-4032
홈페이지 부산예술중학교(http://www.pusanarts.ms.kr)
인가 시기/일시 1998년 9월 19일 -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99년 3월 4일연표보기 - 개교
최초 설립지 부산예술중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체육공원로 20[부곡동 산7-1]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예술중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체육공원로 20[부곡동 산7-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사립 예술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창의성을 바탕으로 고급 예술 문화와 사회를 선도하는 예술인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늘 새롭고 참된 아름다움’이다.

[변천]

동래학원이 1998년 9월 19일에 부산광역시 교육청으로부터 부산예술중학교의 인가를 받아, 1999년 3월 4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음악 2학급, 미술 1학급, 126명]을 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12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1,44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9월 2일에 제7대 김창우 교장이 취임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예술중학교는 예술 중학교로서 학생들의 예술 재능을 조기에 계발하고, 이를 더욱 육성·발전시키기 위한 교육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음악과는 개별 전공 외에도 시창·청음, 음악 이론, 연주, 합창·합주 등으로 음악 기초 과목을 튼튼히 하고 있다. 또한 전공 우수자 연주회, 교내 실내악 경연 대회, 음악 정기 연주회 등을 통하여 전공 실기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회를 만들고 있다. 더불어 쇼팽국립음악원 바이올린 Krzysztof Podejko 교수를 초청하여 특강을 가지는 등 학생들의 견문을 넓혀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미술과는 소묘, 수채화, 표현 기법 등으로 미술의 기초 소양을 기르고, 예술 미전에 제출할 작품을 만드는 과정을 통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작품 제작 계획 수립 및 제작 체험을 해 봄으로써 실기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학생의 조화로운 인간적 성숙을 위하여 독서 교육을 강화하고 벽연재에서 전통 예절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권녕운/작곡 금수현]

하늘에 높이 솟은 저 금정산은/ 배달 혼과 한가지 새 빛이 나네/ 굳센 기운 잠긴 힘 겹겹이 쌓이어/ 이 학원의 꽃으로 피어났도다.

2. 교표: 교표의 형태는 방패 모양으로 이는 동래학원의 설립 이념과 관련된 여성 교육의 전당을 상징하는 ‘여(女)’와 지덕체의 공통점을 형상화한 것이다. 바탕색인 노란색은 새로이 출발하여 무한히 ‘성장 발전’함과, 인간의 영혼을 맑게 하고 영원한 인간의 고향인 동시에 예술이 추구해야 할 본질인 ‘자연’, 그리고 ‘음악’, ‘미술’의 ‘화합과 조화’를 상징하는 것이고, 이 위에 부산예술중학교를 뜻하는 문자를 넣었다.

3. 교목: 소나무이다. 부산예술중학교가 소나무의 기상처럼 항상 푸르고 꿋꿋이 뿌리를 내려 무궁무진 발전해 가며, 이 배움터에서 자라고 배우는 예술 학도들의 예술에 대한 포부와 긍지를 더 크게 발전시켜 푸른 앞날을 기약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4. 교화: 동백이다. 흰 줄기와 반짝이는 푸른 잎 속에서 짙붉게 피는 꽃은 진지함 속의 아름다움을 상징한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9학급에 279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3학급에 97명, 2학년은 3학급에 85명, 3학년은 3학급에 97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40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4명으로 총 46명이 근무하고 있다. 개인 전공실, 실내악실, 국악실, 수채화실, 소묘실, 우창 회관, 벽연재, 야외 등나무 교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