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742
한자 東萊女子中學校
영어의미역 Dongrae Gigh's Middle School
이칭/별칭 동래여중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체육공원로 22[부곡동 산7-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정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립 중학교
설립자 호주장로교선교회[1895년 10월 15일]|구산학원[1940년 5월 30일]
전화 051-516-5783
홈페이지 동래여자중학교(http://dongnae-g.ms.kr)
인가 시기/일시 1909년 8월 9일 - 대한제국 학부대신 인가(3개년 고등과 병치)
개교 시기/일시 1895년 10월 15일연표보기 - 사립일신여학교로 개교
개교 시기/일시 1940년 5월 30일 - 동래고등여학교로 재개교
폐교 시기/일시 1940년 3월 30일연표보기 - 동래일신여학교 자진 폐쇄
이전 시기/일시 1905년 4월 15일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서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768번지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25년 6월 10일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768번지에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500번지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87년 1월 19일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500번지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체육공원로 22[부곡동 산7-1번지]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25년 6월 10일연표보기 - 사립일신여학교에서 동래일신여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6년 9월 1일연표보기 - 동래고등여학교에서 동래여자중학교[6년제]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1년 9월 1일 - 동래여자고등학교와 분리하여 3년제로 편성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7년 - 박순천[1898~1983] 졸업[전 국회 의원]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5년 - 박차정[1910~1944] 동래일신여학교 입학[독립 운동가]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1년 - 공덕귀[1911~1997] 입학[제4대 대통령 윤보선 영부인]동래일신여학교 입학
최초 설립지 사립일신여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주소 변경 이력 사립일신여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768
주소 변경 이력 동래일신여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500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동래여자중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체육공원로 22[부곡동 산7-1]지도보기
현 소재지 동래여자중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체육공원로 22[부곡동 산7-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역사와 전통의 토대 위에 창의적 경쟁력을 갖춘 홍익인간 육성’이다. 교훈은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판단하여 스스로 실천하자’이다.

[변천]

1895년(고종 32) 10월 15일에 호주장로교선교회 여자 전도부가 부산진 좌천동에서 사립일신여학교[3년 소학교]를 설립하였다. 1905년(고종 42) 4월 15일에 부산부[현 동구] 좌천동 768번지로 신축 이전하였다. 1909년(순종 3) 8월 9일에 대한제국 학부대신의 인가를 받아 수업 연한 3년의 고등과를 병치하였다. 1919년 3월 11일에 사립일신여학교 고등과 김반수 등 10여 명이 부산진 좌천동에서 독립 만세 운동을 하여 독립 의식을 깨우쳤다. 1925년 6월 10일에 동래구 복천동으로 신축 이전하고, 동래일신여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0년 3월 30일에 호주장로교선교회가 조선총독부신사 참배 강요에 반발하여 동래일신여학교를 자진 폐쇄하였다. 같은 해 5월 30일에 구산학원이 동래일신여학교를 인수하여 동래고등여학교로 교명을 바꾸어 다시 개교하였다. 1946년 9월 1일에 동래여자중학교[6년제]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51년 9월 1일에 동래여자중학교[3년제]로 동래여자고등학교와 분리되었다. 1987년 1월 19일에 현재 위치인 금정구 부곡동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1995년 5월 12일에 개교 100주년 기념 『동래학원 100년사』를 발간하고 벽연재(碧淵齋)[예절관]를 개관하였다. 2005년 5월 30일에 개교 110주년 기념 동래학원 홍보 CD를 발행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113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총 3만 4279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3월 4일에 제29대 문성규 교장이 취임하였다.

[교육 활동]

동래여자중학교는 수학 교과 교실과 영어 교과 교실, 모둠 학습실을 통한 수업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원어민을 활용한 영어 수업, 영어 단어 경시 대회 및 생활 영어 활용 능력 인증제 등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 복지 우선 지원 사업을 통해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습 결손 예방, 학력 증진, 건강한 신체 및 정서 발달,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예절관인 벽연재를 활용한 일일 예절 교육으로 인성 교육에 힘쓰고 있으며, 진로 동아리 활동으로 꿈 노트를 만들어 진로 지도에 활용하고 있다. 도서실이 활성화되어 있고, 인문학 교실에서 작가를 초청하여 매달 인문학 강좌를 여는 등 활발하게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학교 특색 사업은 ‘창의성 함양을 위한 독서 교육 운영’이다. 이는 독서의 생활화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이고 자신감 있게 표현하게 하며, 나아가 바람직한 인생관을 형성하게 하기 위함이다.

졸업생으로 전 국회의원인 박순천[1917년 졸업], 독립운동가인 박차정[1925년 졸업], 제4대 대통령 윤보선의 영부인인 공덕귀[1931년 입학]가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권녕운/작곡 금수현]

하늘에 높이 솟은 저 금정산은/ 배달 혼과 한가지 새 빛이 나네/ 굳센 기운 잠긴 힘 겹겹이 쌓이어/ 이 학원의 꽃으로 피어났도다.

2. 교표: 지·덕·미의 무한한 발전을 나타내는 세 개의 원이 결합하여 합쳐진 것이 전체 꼴이 이룬다. 이 꼴은 한자의 ‘여(女)’가 되므로 지·덕·미의 이 세 가지가 원만하게 결합된 여성이라는 뜻을 가진다. 아름다운 여성을 기르는 학교라는 뜻으로 교표의 바탕은 파란색으로 하고, 아름다움도 중요하나 그보다 앞서 여성은 순결해야 하므로 맑고 아름다운 푸른 이상의 뼈에 흰 살을 붙였다. 곧 바탕은 파랑으로 하고 글자와 곽을 흰색으로 하였다.

3. 교목: 향나무로 영원한 향기를 상징한다.

4. 교화: 매화로 고결과 결백, 정조를 상징한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29학급에 994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9학급에 300명, 2학년은 10학급에 335명, 3학년은 10학급에 359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48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0명으로 총 60명이 근무하고 있다. 도서실, 모둠 학습실, 영어 교과 교실, 수학 교과 교실, 교육 복지실, PAPS 측정실, 우창 회관, 벽연재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