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자갈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606
영어의미역 Jagalchi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문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희곡
작가 이현대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992년 3월연표보기 - 부산 연극제 경연 부문 참가 공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3월 - 부산 연극제 최우수 작품상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2년 6월 - 전국 연극제 희곡상 수상
배경 지역 자갈치 시장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지도보기

[정의]

1992년 제10회 부산 연극제 최우수 작품상과 제10회 전국 연극제 희곡상을 수상한 이현대의 희곡 작품.

[개설]

「자갈치」극단 현장의 창단 주역이며 극작과 연출, 그리고 배우까지 겸했던 극작가 이현대가 창작한 희곡 작품으로, 1992년 3월 한국연극협회 부산지회 소속 극단이던 현장이 부산 연극제 경영 부분에 참가하여 공연하였다.

[구성]

「자갈치」자갈치 시장의 생성 과정과 상인들의 일상, 장사치들의 장사하는 모습이 파노라마처럼 묘사되어 있다.

[내용]

욕쟁이 할머니는 자갈치 난장에서 생선을 팔고 있다. 어느 날 이곳에 남편을 잃고 어린 아들과 함께 흘러 들어온 젊은 새댁이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자갈치 주먹인 백사의 부하들이 텃세를 부리며 방해하자 욕쟁이 할머니가 옆자리를 내어 주며 딸처럼 보호하기에 이른다. 한편 자갈치를 자본으로 움켜쥐려는 일본 야쿠자 세력에 맞서기 위해 자갈치 상인들은 일치단결하여 상권을 지켜 낸다.

[특징]

「자갈치」는 외국 자본의 점령과 침탈로부터 민족 상권을 지켜 내려는 자갈치 토착 상인들의 끈질긴 투쟁과 생활 모습을 묘사하고 있으며, 부산의 자갈치 시장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한국적이고,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말과 같이 「자갈치」는 부산의 지역성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자갈치」는 부산 지역의 방언을 대사로 잘 살려 내는 한편, 부산 지역의 정서와 지역민들의 기질을 적절하게 나타내어 지금까지 나온 작품 중에 부산 지역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갈치」는 1992년 제10회 부산 연극제에서 최우수 작품상과, 제10회 전국 연극제에서 희곡상을 각각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