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9022 |
---|---|
한자 | 蓮堤區 |
영어의미역 | Yeonje-gu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부산광역시에 속하는 자치구.
[명칭 유래]
연제(蓮堤)는 연산동의 연(蓮)과 거제동의 제(堤) 자를 이용한 합성 지명이다.
[형성 및 변천]
연제구(蓮堤區) 지역은 조선 시대 동래부 서면의 거벌리와 남촌면의 일부에 해당한다. 1914년 동래부 일부와 기장군을 합하여 동래군을 설치하면서 연제구 지역은 경상남도 동래군 서면에 속하게 되었다. 1936년 부산부에 편입되었고, 1957년 부산시 동래구에 속하였다. 도시 산업화로 부산 도시 시가지가 서면 쪽으로 확장되면서 이에 접한 연제구는 급속한 지역 변화를 겪게 되었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고,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동래구 연산동과 거제동을 중심으로 연제구로 분구되어 오늘에 이른다. 1997년 부산광역시청과 법원을 비롯한 공공 기관이 이전하면서 인구 증가가 급속히 이루어졌다.
[자연 환경]
연제구의 동쪽은 해운대구, 서쪽으로는 부산진구, 남쪽은 수영구와 남구, 북쪽은 동래구와 접한다. 남부에는 황령산과 금련산을 잇는 산지가 둘러싸고 있고, 북서부에도 금정봉과 금용산(金湧山)[150m] 등의 산지 지역이 있다. 중앙에는 거제동과 연산동을 구분하는 거제천이 흘러서 전체적인 지형은 남북으로 열려 있다. 금정산에서 발원한 온천천이 남류하다 연제구와 만나 동쪽으로 흐르면서 동래구와의 경계를 이루며 재송동에서 다시 남류한 후 수영만에 유입한다.
연산동의 배산(盃山)[254m]은 잘매산 또는 잘미산이라고도 부른다. 산정과 산 능선에는 규모는 작으나 토르(tor)가 있고, 곳에 따라 애추가 발달하였다. 풍수 형국상 동래부 진산이었던 윤산(輪山)[지금의 구월산]의 안산(案山)에 해당된다. 거제동의 화지산(和池山)[142m]은 부산진구 양정동·초읍동과 경계를 이루는 구릉성 산지로 산정은 종순형을 나타내고 사면은 완만하다. 산 아래에 있는 ‘화지언(和池堰)’에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거제동의 금용산은 부산진구와 동래구와의 경계를 이룬다. 한글 지명인 쇠미산을 한자화한 지명으로 산에서 쇳물이 나왔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황령산과 금련산 산지에는 여러 계곡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곳이 마하사골과 물만골이다. 연산 3동에 소재한 마하사골은 금련산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형성한 계곡으로 상류에 자리한 마하사에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연산 2동의 물만골은 황령산 봉수대 아래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소하천의 상류 계곡에 해당된다. 계곡이 깊은데다 물이 맑고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다고 하여 지명이 유래되었다. 이외에 거제동에 도둑골, 연산동에 밤골, 배나무골 등이 있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12.10㎢이며, 인구는 9만 5,873가구에 총 20만 5,766명으로 남자가 9만 8,344명, 여자가 10만 7,422명이다. 시가지가 중앙 대로와 부산 지하철 1호선이 지나는 온천천 부근의 평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1997년 부산광역시청·부산광역시의회·부산지방경찰청의 신청사가 중구 중앙동으로부터 이전하여 건립되고 뒤이어 부산지방법원, 부산고등법원, 부산지방검찰청, 부산고등검찰청 등이 이전하여 법조 타운을 형성하였다. 부산국세청, 부산시 교육 연수원 등이 관내에 입지하면서 부산의 행정·사법·공공 서비스의 중심이 되었다.
상업·업무 지역은 연산 로터리와 과정로를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특히 연산 로터리는 지하철 환승역이 되면서 교통 중심지가 되었다. 거제동에는 정부기록보존소 부산지소가 있다. 철도는 동해 남부선 철도가 통과하고 있다. 온천천을 따라 조성된 생태 공원은 시민들의 산책 코스로 이용되고 있다. 구청 소재지는 연산동으로, 관내에 12개 행정동과 거제동·연산동 등 2개 법정동이 있다. 연제구의 구목은 소나무로 연제 구민의 푸른 기상·지조·인내·강직 등을 상징하며, 구화는 연꽃으로 풍요·행운·생명·군자를 상징한다. 또 구조는 황새로 행복·축복·인자를 상징한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4.09.23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15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12.10㎢이며, 인구는 9만 2,583가구에 총 21만 128명으로 남자가 10만 1,055명, 여자가 10만 9,073명이다 |
2020.05.28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12.10㎢이며, 인구는 9만 266가구에 총 21만 443명으로 남자가 10만 1,654명, 여자가 10만 8,789명이다 |
2019.05.02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09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