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681
한자 路下-
영어의미역 Noha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2동 노하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류종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0년 - 동래군 부산면 범일동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동래군 부산면 범일동에서 부산부 부산면 범일동으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49년 - 부산부에서 부산시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1년 - 부산시 초량출장소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57년 1월 1일 - 부산시 동구 범일동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 동구 범일동에서 부산직할시 동구 범일동으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동구 범일동에서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으로 편입
자연 마을 노하 마을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 3동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노하(路下) 마을부산포 왜관과 조선인 거주 지역을 잇던 길 아래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전한다.

[형성 및 변천]

노하 마을은 1407년(태종 7) 부산포 왜관이 설치되며 왜관의 무역을 담당하고 생필품 판매를 위해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한다. 왜관은 고려 말부터 남해안 일대에 약탈을 일삼던 왜구의 폐해를 막고 일본 대마 도주의 무역 요구를 수용해 설치되었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조선 후기 동래부 동평면, 1910년 동래군 부산면 범일동에 속하였고, 1914년 부산부에 편입되어 부산면 범일동 노하 마을이 되었다.

노하 마을은 1913년 서쪽으로 부산진 시장이 개설되며 시장 구역에 편입되어 급속히 변화하였다. 이후 범일정(凡一町)으로 개칭되었다가, 해방 후 범일동 노하 마을이 되었다.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승격되었고, 1951년 9월 1일 부산시 초량출장소, 1957년 1월 1일 부산시 동구 범일동에 속하였다. 1963년 부산이 직할시로 승격되며 부산직할시 동구 범일동 노하 마을, 1995년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노하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노하 마을은 동쪽으로 자성대가 있는 낮은 구릉성 산지가 자리하고, 남쪽으로 해안과 접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항만 물류 시설이 위치하고 있다. 동쪽 산지 너머로는 동천이 흘러 남쪽 해안에 유입하는 하구 지역이었다. 지금의 지형과 마을 지명으로 볼 때 자성대가 있던 산지에 문현동 지겟골과 대연 고갯길을 연결하는 도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노하 마을은 이 도로 아래쪽 자성대의 남서쪽 비탈면에 남향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현황]

노하 마을은 2012년 현재 도시화가 진전되며 시가지로 변화되어 흔적을 찾을 수 없다. 마을이 있던 지역 인근에 자성대 공원·영가대·부산진 시장과 범일2동주민자치센터가 자리하고 있다. 현재 부산진 시장의 동쪽으로 미싱사가 모여 있는 골목길을 노하 골목이라고 부르기도 해 그 위치를 짐작하게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