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055 |
---|---|
한자 | 釜山浦倭館 |
영어의미역 | Waegwan in Busan-po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관부(전통 시대)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홍성덕 |
[정의]
조선 전기 부산포에 설치된 왜관.
[개설]
조선이 건국된 뒤 대일(對日) 외교의 현안은 왜구 처리에 관한 문제이었다. 왜구에 대한 조선 정부의 대책은 강력한 응징과 아울러 무역을 허락함으로써 점차적으로 평화로운 통교자로 전환하려는 것이었다. 사절로 파견된 왜인과 무역을 위해 오는 왜인, 조선인으로 귀화한 왜인 등의 형태로 조선에 온 일본인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1410년(태종 10) 경상도에 거주하는 왜인이 2,000명에 달하였다.
왜관은 일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을 가리키는 말로, 조선 전기에 삼포(三浦) 왜관[부산포·내이포·염포]이 설치되었으며, 이후 사량진 왜변을 계기로 삼포 가운데 부산포 왜관이 단일 왜관으로 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임진왜란이 끝난 뒤에는 절영도 왜관, 두모포 왜관을 거쳐 1678년(숙종 4) 초량 왜관으로 변모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조선 전기 꾸준히 증가하는 왜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조선 정부에서는 1407년(태종 7) 부산포와 내이포 두 곳에 한정하여 배를 정박할 수 있도록 제한하였다. 『태종실록(太宗實錄)』 태종 7년 7월 26일 기사의 경상도 병마절제사 강사덕(姜思德)의 상소에 의하면, “흥리 왜선이 각 포구에 흩어져 정박하여 병선의 허실을 엿보고 있으니, 실로 불편합니다. 빌건대, …… 행장을 만들어 발급하여 도만호(都萬戶)가 있는 곳에 와서 정박하게 하여, 속이고 위장하는 것을 막고 체통을 세우도록 하소서”라고 되어 있다.
이 글에서 ‘도만호’가 있는 곳에 왜선을 정박하도록 했음을 알 수 있는데, 당시 도만호가 있는 곳이 내이포와 부산포이었다. 이후 1426년(세종 8)에 염포를 추가하여 삼포 왜관 시대를 열었다. 다만 부산포의 왜관 설치 시기는 학자에 따라 이견이 많다. 이것은 부산포 왜관 설치 시기가 사료에 명확하게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경상도 포구에 ‘왜관’이 처음 보이는 자료는 『태종실록』 태종 18년[1418] 3월 2일 기사이다. 즉 부산포나 내이포에 정박하는 일본인이 늘어나 여러 폐단을 일으키자, 염포와 가배량에 왜관을 설치하여 항거 왜인을 분치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이 자료에서도 부산포에 왜관을 설치하였다는 기록은 볼 수 없다. 지금까지의 학자들은 대개 1407년 설, 1409년 설, 1418년 이전 설, 1418년 설, 1423년 설을 주장하는데 한국 학계에서는 1407년 설을, 일본 학계에서는 1423년 설을 지지하고 있다.
[조직 및 담당 직무]
왜인들의 체류가 허가된 부산포에는 왜인들이 모여 사는 마을과 외교 사절이 머무는 객관(客館), 거주 왜인을 총괄하는 공관(公館) 등의 왜관이 존재하였다.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1471] 「동래 부산포 지도(東萊富山浦之圖)」를 보면 왜리(倭里) 주변인 증산 아래에 수군만호 영청(水軍萬戶營廳)이 있다. 다만 영청과 왜리를 구분하는 담이 없었기 때문에 이후 방벽을 쌓아 일본인을 닫힌 공간 속에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일찍부터 있었다.
즉 1438년(세종 20) 의정부에서는 삼포에 입항하는 왜객인(倭客人)에게 식량이 과다하게 지급되는 폐단을 막기 위하여 일본인들의 집 둘레에 목책을 설치하고 또한 아울러 담도 설치한 다음, 서쪽과 북쪽 두 곳만 만들어 상시로 지키고 출입하는 일본인의 수를 헤아리도록 하였다. 이러한 조선 정부의 움직임에 항거 왜인들도 위기의식을 느껴 스스로 목책을 세우기도 하였다. 즉 조선 정부는 왜인들의 마을을 격리된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목책, 담장, 성벽 등을 만들어 경계를 강화한 뒤 왜관의 공간을 묶어 나갔다.
또한 부산포가 개항장으로 자리 잡으면서, 대일 교섭 업무를 담당하는 왜학훈도(倭學訓導)[종9품]가 1명씩 파견되었다. 일본어 통역관인 왜학훈도의 고유 업무는 이곳에 온 일본 사신을 접대하고, 왜학 생도를 가르치는 일이었다. 그리고 왜학훈도 외에 향통사(鄕通事)라는 하급 역관이 있었다. 이들은 왜학훈도를 보조하면서 일본 사신이 왔을 때 각 지역에서 필요한 접대를 맡았다. 또한 계류 첩정(稽留牒呈)의 업무를 담당하였다.
정부는 그들이 올린 첩정에 따라 일본 사신에게 유포량(留浦量)을 지급하였다. 이들은 관직도 소유하지 못하고, 국가 보수 체계에도 편입되지 못한 채 하급 통역으로 종사하였다. 이들은 지역민으로 충원되었으며, 수십 년 동안 한 지역에서 근무하기도 하였다.
[관련 기록]
『태종실록』과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해동제국기』 「동래 부산포 지도」에 기록이 실려 있다.
[변천]
1407년 부산포가 공식적으로 개항한 이후 일본 상선이 부산포에 모여들었다. 그리하여 부산포는 양국 교역의 중심지로 발전해 갔다. 『해동제국기』에 실려 있는 「동래 부산포 지도」를 보면 왜관과 자성대(子城臺) 오른쪽에 견강사(見江寺)와 게월암(憩月庵)이란 두 절이 보이고, 절 주변에는 일본인의 집이 즐비하게 그려져 있다. 15세기 부산포에 거주하는 항거 왜인은 20호[세종 초]→110호[세조 12, 1466]→127호[성종 25, 1494]이었다. 1466년을 기준으로 보면 당시 동래현 전체 호수의 1/3, 인구수로는 1/8에 해당하였다.
개항 초 부산포의 항거 왜인 가운데는 상인뿐만 아니라 유녀(遊女)도 존재하였다. 이들은 일본 외교 사절이 탄 외교선이나 일본 상선이 입항하면 호객 행위를 하기에 급급하였다. 그리고 부산포 항거 왜인의 활동은 왜관이나 왜리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부산진성 아래 민가에서 짧게는 1~2년, 길게는 3~4년 동안 체류하면서 서울의 부거인(富居人)이나 상인들과 상업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다만 제포의 일본인은 농업이나 어업에 종사하여 부유한 반면, 부산포의 왜인들은 비교적 소규모 상업에 종사하여 매우 가난하였다. 부산포 왜인들의 일상생활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동래 온천에서 목욕하는 일이었다. 또한 1494년 부산포에 절이 4곳, 승려가 7명이 상주하고 있어 일본 사찰이 있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은 1544년(중종 39) 사량진 왜변 이후 1547년(명종 2) 부산포 왜관의 단일 체제가 형성되면서 더욱 발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부산포 왜관을 통해 조선 전기 조선 정부가 왜구의 통제를 위해 시행한 대일 정책의 일면을 잘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