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153
한자 外洋浦-
영어의미역 Oiyangpo Village
이칭/별칭 외항포(外項浦) 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외양포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창원군 천가면 대항리
변천 시기/일시 1980년 - 경상남도 창원군 천가면 대항리에서 경상남도 의창군 천가면 대항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9년 - 경상남도 의창군 천가면 대항리에서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항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항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외양포 마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외양포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대항(大項)의 바깥쪽 목[項]으로 잘록한 포구라는 뜻에서 외항포(外項浦)라고 불렀다. 공식 지명은 외양포(外洋浦)이지만 바른 지명 표기는 외항포이다.

[형성 및 변천]

외양포 마을은 선사 시대 외양포 부은늘 조개더미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일찍부터 마을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 시대 이곳에 가덕진(加德鎭)천성 만호진(天城萬戶鎭)이 설치되었고, 1906년 웅천군(熊天郡) 천성면가덕면으로 나누어졌다가 1908년 웅천군 천가면으로 통합되었다. 천가라는 지명은 천성 만호진가덕진의 머리글자를 딴 합성 지명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천가면창원군에 편제되면서 눌차리·대항리·동선리·성북리·천성리 등으로 구성되었다. 1980년 의창군에 속하였다가 1989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면서 강서구 대항동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외양포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외양포 마을 남쪽 1㎞ 지점에 있는 산을 관측산[정상에 일제 강점기 때 해군 관측소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부르지만, 본래는 수리의 서식지로 이름나 수리산먼뎅이라 불렀다. 동쪽에 국수봉이 있고 서쪽과 남쪽은 바다와 인접한다. 남쪽 끝인 동두말 북서쪽 해안에 있는 아동섬(兒童島)[애구비구섬]의 해안 절벽은 비경을 뽐낸다.

[현황]

외양포 마을은 행정동인 가덕도동 10통 지역이다. 러일 전쟁 당시 일본군의 주둔지였던 외양포 포대 사령부 터가 있다. 또한 일본 육군 포병사령부 헌병대가 사용하던 건물, 화장실, 막사, 일본군 관사, 병원 시설, 무기고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설들이 아직까지 남아 있다. 마을 주민들 말에 의하면 외양포 마을에는 우물이 9개 있었다고 한다. 우물이 많은 것으로 보아 가덕도에 주둔했던 가덕도 수비대와 포병 사령부의 일본군 규모가 상당하였을 것이라 짐작된다.

가덕도 자생 동백군은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6호로 대항동 산13-2번지 일대에 분포하고 있다. 동백나무 군락은 외양포 마을 위쪽 산 넘어 계곡인 국수봉과 남산의 동쪽 중앙 계곡들을 중심으로 해안 암벽 위 동남쪽 경사면에 자생하는데, 수령이 50~100년으로 추정되는 2,500주 정도가 약 6,600㎡ 넓이에 단순림으로 존재한다. 해안 마을 특성상 마을 사람들의 주업은 어업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