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외양포 부은늘 조개더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502
한자 外洋浦-
영어의미역 Shell Mound in Oeyangpo Bueunneul
이칭/별칭 외양포 패총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해안로 1237[대항동 산13-2]
시대 선사/석기
집필자 하인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조개더미
소유자 강서구
관리자 부산광역시청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2년 5월~12월연표보기 - 부산여자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실시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산13-2
출토 유물 소장처 신라대학교 박물관 -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 700번길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에 있는 신석기 시대의 조개더미 유적.

[개설]

외양포 부은늘 조개더미는 1992년 5월부터 12월까지 부산여자대학교 박물관[현 신라대학교 박물관]이 수차례에 걸쳐 실시한 가덕도 문화 유적 지표 조사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나 정식 발굴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조개더미의 북사면은 약간 완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남사면과 서사면은 절벽에 가까운 급경사를 이룬다. 패각은 바위 위에 퇴적되어 있는데, 여기서 남해안 지역의 신석기 전기 즐문 토기편이 채집되었다.

[위치]

외양포 부은늘 조개더미는 서남단에 있는 외양포 마을에서 서남쪽의 해안로를 따라 500m쯤 가면 부은늘이라고 부르는 바위섬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형태]

발형(鉢形)의 무문양 토기 아가리 조각과 자돌 압인(刺突·押引) 기법의 횡주 어골문(橫走魚骨文) 토기편이 10여 점 출토되었는데, 크기가 작은 편이라 전체 문양의 형태는 자세하지 않다. 출토 유물의 형식적 특징으로 보아 남해안 지역 신석기 시대 전기[기원전 4000년 전후]의 영선동식 토기로 추정된다. 한편 외양포 부은늘 조개더미는 일반 조개더미와 달리 육지부에서 바다로 돌출한 곳에 있고, 조개더미의 규모와 범위 및 주변 환경이 거주지로는 부적당한 것으로 보아 계절적 혹은 일시적으로 어패류를 획득하기 위한 캠프 같은 곳으로 추정된다.

[현황]

대부분 그대로 보존되어 있으나, 일부 지점은 쓰레기 매립을 위한 구덩이가 설치되어 패각층이 훼손되고 있는 상태이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배** 外洋浦- → 外洋浦-貝塚

한자명 수정해주세요.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목명은 한자와 한글을 1대 1로 일치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기하신 의견은 수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20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