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한국폴리텍Ⅶ대학 부산캠퍼스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708
한자 韓國-大學釜山-
영어의미역 Korea Polytechnics Ⅶ Busan Campus
이칭/별칭 한국폴리텍7대학 부산캠퍼스,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대로155번길 99[덕천동 2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상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립 전문 대학
설립자 노동부 산하 공공직업훈련법인
전화 051-330-7800
홈페이지 한국폴리텍Ⅶ대학 부산캠퍼스(http://busan.kopo.ac.kr)
인가 시기/일시 1978년 4월 3일 - 부산직업훈련원으로 설립 인가
개교 기시/일시 1979년 10월 29일연표보기 -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95년 3월 2일연표보기 - 부산직업훈련원에서 부산기능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2년 3월 1일연표보기 - 부산기능대학에서 부산디지털정보기능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6년 3월 1일연표보기 - 부산디지털정보기능대학에서 한국폴리텍Ⅶ 부산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7년 7월 2일연표보기 - 한국폴리텍Ⅶ 부산대학에서 한국폴리텍Ⅶ대학 부산캠퍼스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2년 3월 18일 - 한국직업훈련관리공단 산하로 이관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7년 4월 15일 -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산하로 변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11월 15일 - 기능 대학 산하로 변경
최초 설립지 부산직업훈련원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대로 155번길 99[덕천동 22]지도보기
현 소재지 한국폴리텍Ⅶ대학 부산캠퍼스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대로 155번길 99[덕천동 2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한국폴리텍Ⅶ대학의 캠퍼스.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국가 기간산업·신성장 산업 분야 인력 양성[민간 부분에서 담당하기 어려운 국가 기간산업과 신산업 분야의 산업 학사 학위 과정, 기능장 등 중간 기술 인력 양성], 산업 수요에 맞는 기능 인력 양성[취업을 희망하는 청소년, 고학력 미취업자, 실직자 등을 대상으로 기능 인력[기능사] 양성], 근로자의 평생 직업 능력 개발·교육[근로자의 평생 직업 능력 개발, 산학 협력 사업, 지역 산업 인력 개발 및 취약 계층 직업 능력 개발·교육]’이며, 근거는 「근로자 직업 능력 개발법」에 있다. 학훈은 ‘열정, 창조, 실천’이다.

[변천]

1978년 4월 3일에 노동부 산하 공공 직업 훈련 법인인 부산직업훈련원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9년 10월 29일에 기능사 과정 제1기생 입학[1년제]과 함께 북구 덕천동에서 교육을 시작하였다. 1982년 3월 18일에 한국직업훈련관리공단이 설립되어 산하로 이관되었고, 1987년 4월 15일에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산하로 변경되었다. 1995년 3월 2일에 부산기능대학으로 승격되어 산업 학사 학위 과정이 개시되었으며, 1999년 11월 15일에 기능 대학 산하로 분리되었고, 2002년 3월 1일에 부산디지털정보기능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6년 3월 1일에 한국폴리텍대학이 출범하여 한국폴리텍Ⅶ 부산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2007년 7월 2일에 한국폴리텍Ⅶ대학 부산캠퍼스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교육 활동]

한국폴리텍Ⅶ대학 부산캠퍼스는 1978년 직업 훈련원으로 시작된 이래, 산업화 시대에 부응하는 산업 인력을 배출하여 부산·경상남도 지역 및 대한민국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취약할 수 있는 기능 인력의 양성과 미취업자, 재취업자들의 재교육과 평생 교육에 기여하고 있다. 실사구시하는 창조적 중간 기술인 양성을 목적으로 교육 활동에 주력하고 있으며, 산업 현장의 중간 기술인, 다기능 기술자 양성과 근로자의 평생 직업 능력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장 실무 위주의 기술 인력 양성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현재의 산업 현장의 요구를 받아들여, 교육 내용과 산업 현장의 실무 내용을 연계하고 재직자의 직무 능력 향상 교육과 고학력 미취업자의 전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실험·실습 장비 1인 1대’ 운영, 프로젝트 및 현장 실습으로 실무 능력을 배양하고, 실무 능력 인증제로 신지식 기술인 양성 전문 기술·외국어·인성 교육의 ‘3 in 1 시스템’으로 기업체와 공동으로 실무 능력을 인증하는 취업 연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밀착 지도 및 소그룹 학습, 멘토링으로 국가 기술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시스템과, 산학 협력, 창업 보육, 평생 교육 등에 노력하고 있다.

[현황]

2012년 8월 기준 한국폴리텍대학은 총 8개의 지역 대학이 있으며, 이 중 부산 캠퍼스는 창원, 울산, 동부산, 진주 캠퍼스와 함께 Ⅶ대학에 속한다. 한국폴리텍Ⅶ대학 부산캠퍼스에는 총 1,429명[정원 외 141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으며, 전임 교원 43명, 비전임 교원 48명, 일반 직원 10명, 계약 직원 8명 등 총 109명의 교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5만 8630㎡로, 학장, 학사 위원회, 산학 협력팀, 산학 협력 연구소, 교학팀, 행정팀 등의 기구가 있으며, 산업 학사 학위 과정에 7개 학과[컴퓨터 응용 기계과, 컴퓨터 응용 금형과, 건축 계측 제어과, 메크트로닉스과, 자동차과, 정보 통신 시스템과, 전자과], 기능장 과정에 3개 학과[자동차과, 컴퓨터 응용 기계과, 전기 계측 제어과]가 있다.

[참고문헌]
  • 『부산 교육사』(부산직할시 교육위원회, 1987)
  • 한국산업인력공단(http://www.hrdkorea.or.kr)
  • 한국폴리텍대학(http://www.kopo.ac.kr)
  • 한국폴리텍Ⅶ대학 부산캠퍼스(http://busan.kopo.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