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663
한자 英才敎育
영어의미역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he Talented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성병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행 지역 영재교육 - 부산광역시 일대

[정의]

우수한 소질과 재능을 타고난 아동이나 청소년들을 위하여 부산 지역에서 마련한 교육 제도.

[추진]

영재 교육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은 최근에 와서 이루어졌지만, 1970년대 평준화 정책 실시 이후 1980년대 초반부터 한국교육개발원을 중심으로 영재 교육에 관한 실질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1983년 경기과학고등학교의 설립을 시작으로 과학 계열 고등학교와 외국어 계열 고등학교가 영재 교육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그리고 1995년에 대통령자문교육개혁위원회에서 영재 교육의 활성화와 영재 교육 센터의 설치·운영을 제안하여, 1997년부터 대학 부설 과학 영재 교육 센터가 과학기술부의 지정을 받아 설치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부산광역시 교육청에서는 1999년 3월에 부산광역시 교육청 과학영재교육센터를 설치하고, 그해 4월에 부산 지방의 과학·수학 분야에서 우수한 재능을 지닌 중학교 2·3학년 260명을 대상으로 첫 입학식을 거행함으로써 비정규 교육 과정의 영재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시작하였다.

당시에는 부산 시내 소재 대학 부설 영재 교육 센터가 없었기 때문에 다수의 중학생들이 한국과학기술원이나 마산 소재 경남대학교 부설 영재교육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등 영재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따라서 2000년 1월에 『영재 교육 진흥법 시행령』이 공포·시행됨으로써 부산과학고등학교가 영재 학교로 전환되었고, 부산광역시 영재교육진흥원이 개설되는 등 부산의 영재 교육이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경과]

1995년 5월 대통령자문교육개혁위원회 제2차 보고서에서 영재 교육의 활성화와 영재 교육 센터 설치·운영으로 전환하였다. 1999년 3월에 부산광역시 교육청 과학영재교육센터를 설립하였으며, 그해 7월에는 부산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를 개소하였다. 2000년 1월에 『영재 교육 진흥법』이 제정·공포되었으며, 같은 해 9월에 부산광역시 어린이 회관에서 사이버 초등 수학 영재 교실을 운영하였고, 2001년 4월에는 초등영재교육센터를 설립하였다. 그해 10월에는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 영재 학교로 선정하였다.

2002년 4월에 『영재 교육 진흥법 시행령』을 공포·시행하였으며, 부산광역시 교육정보원에서 부산광역시 정보영재교육센터를 설립하였다. 동년 5월에는 부산광역시 영재교육진흥위원회를 구성하였고, 그해 9월에 부산광역시 영재교육원[과학, 초등, 정보] 및 지역 공동 영재 학급[인문, 사회, 음악, 미술, 체육]을 설치하였다. 2003년 1월에 ‘부산광역시 영재교육진흥원 설립·운영에 관한 조례’를 공포하였고, 그해 3월에는 부산과학고등학교에 과학 영재 학교 1기 신입생이 입학하였다. 동년 4월에는 지역 교육청 영재 교육원[6개] 및 부산국제고등학교에 언어 영재 교육원을 설치하였고, 같은 해 8월에는 부산광역시 영재교육진흥원을 개원하였다.

2004년 1월에 부산광역시 학생 교육 문화 회관에서 부산광역시 예술영재교육원을 신설하였고, 2005년 3월에는 부산광역시 교육청 ‘수월성 교육 종합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해 7월에 부산과학고등학교를 한국과학영재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같은 해 9월에는 소외 계층 영재 교육 프로그램으로 지역 영재 교육원 샛별반을 설치하였다. 2006년 3월에는 지역 영재 교육원 사이버 영재반과 장영실과학고등학교 영재교육원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영재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현황]

현행 『영재 교육 진흥법』에서의 영재 교육 기관은 영재 학교와 영재 학급, 그리고 영재 교육원으로 구분된다. 영재 교육 기관은 그 특성에 따라 교육 대상자의 수준과 최종 교육 목표가 달라질 수 있으며, 기관별 특성이 반영된 다양한 영재 교육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1. 영재 학교

영재 학교는 국가가 새로 설립하거나, 각급 학교 중에서 지정·전환하여 운영할 수 있다. 현재는 과학기술부의 선정과 교육인적자원부의 지정을 거쳐 운영되고 있는 한국과학영재학교가 전국 유일의 영재 학교이다. 한국과학영재학교는 『영재 교육 진흥법』에 의한 학교로서, 과학 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영재 교육을 통하여 지식 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자 설립되었다.

교육 과정 편성은 학교장에게 최대한의 자율권을 부여하며, 무학년 졸업 학점제, 학생 선택 중심의 맞춤식 교육 과정으로 교과, 자율 위탁 연구[R&E], 졸업 논문 연구, 특별 활동[단체·봉사 활동]으로 나뉜다. 교과 135학점, 연구 활동 35학점, 특별 활동 3년간 각각 120시간 이상을 이수하여야 졸업할 수 있다.

2. 영재 학급

영재 학급은 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가 고등학교 이하의 각급 학교에 설치하여 방과 후·방학 중 프로그램 등 비정규 교육 과정의 형태로 운영하게 되어 있다. 2002년도부터 운영된 영재 학급은, 지역 교육청에서 지역 공동 영재 학급을 설치하여 수학, 과학, 정보, 창작 등 4개 영역에 걸쳐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2003년에는 영재 교육의 기본 지침 변경에 따라 지역 교육청 영재 교육원으로 전환·운영되고 있다.

3. 영재 교육원

영재 교육원은 시도 교육청, 대학, 공익 법인 등이 부설 기관의 형태로 영재 교육의 기회 확대와 활성화 차원에서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각 기관의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분야의 영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방과 후나 주말 출석 수업, 방학 중 집중 수업, 원격 수업 등을 이용하여 비정규 교육 과정의 프로그램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