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105 |
---|---|
한자 | -附設韓國科學英才學校 |
영어의미역 | Korea Science Academy Of KAIST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관문로 105-47[당감동 899]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성병창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에 있는 국립 특수목적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인류 사회에 공헌할 창의적 글로벌 리더 양상’이다. 교훈은 ‘창의·열정·봉사’이다.
[변천]
1989년 12월 18일 교육부에서 부산과학고등학교 설립 계획을 승인하여 1990년 9월 7일 6학급 180명으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부산과학고등학교는 1991년 3월 4일 개교하였으며, 1998년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서 부산진구 당감동으로 학교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2001년 11월 1일 과학기술부로부터 과학 영재 학교로 선정되었다. 2002년 4월 12일 부산광역시 교육청과 KAIST 간 과학 영재 학교 운영에 관한 협약식을 체결하고, 동년 5월 3일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과학 영재 학교로 지정·전환되었다. 2005년 부산과학고등학교에서 한국과학영재학교로, 2006년에 한국과학영재학교 제1회 졸업식을 하였으며, 2009년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로 명칭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12년 제7회 졸업식까지 97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에서는 교과·창의 연구·리더십 활동으로 구성된 차별화된 교육 과정을 바탕으로 무학년 졸업 학점제, PT[Placement Test]와 AP[Advanced Placement] 등의 속진·심화 프로그램, R&E[Research and Education], 국제 공동 연구, 졸업 연구 등의 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창의성 계발을 돕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교환 학생, 해외 연수 등 국제 교류 프로그램 및 다양한 동아리 활동, 단체 활동, 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학생들의 글로벌 리더십 함양 및 인성 교육을 위한 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의 학생들은 전원 생활관에서 생활하며 우수한 학생들은 장학 후원회 등으로부터 장학금을 받고 있다. 2009년 3월부터 KAIST 본원 교수의 강의 지원, KAIST HRP[High School Research Program], KAIST HP[Honors 'Program] 등을 통해 KAIST와의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더욱 수준 높은 영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매년 18명의 외국인 학생을 정원 외로 선발하여 국제반을 운영하고 외국인 교원을 14명까지 임용하여 학생들이 일찍부터 국제적 감각을 익히도록 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박찬웅/작곡 하순봉]
배달겨레 정기 받은 영광스런 터전/ 창조와 탐구의 정신으로/ 우주의 꿈 웅지를 키우며 진리를 개척하는/ 우리 젊은 과학도/ 우리는 과학 한국의 샛별들 희망찬 내일의 등불/ 빛난다 그 이름 한국과학영재학교.
2. 교목: 은행나무이다.
3. 교화: 수선화이다.
4. 교조: 까치이다.
[현황]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는 대지 면적 5만 9,180㎡, 운동장 면적 5,328㎡, 건물 연면적 총 3만 5,651㎡의 국립 학교이다. KAIST 총장 아래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장을 중심으로 선정 심사 위원회, 학교 자문 위원회, 교원 인사 자문 위원회, 교원 과정 위원회, 학생 학사 위원회를 두고 있으며 수리 정보 과학부, 물리 지구 과학부, 화학 생물 학부, 인문 예술 학부, 교육 분과와 교무 지원부, 학생 지원부, 연구 지원부, 입학 지원부, 행정 지원팀, 기획 홍보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학내 교육 정보 센터 및 창의 교육 지원 센터를 운영 중이다.
2013년 3월 현재 교장 및 교감, 전임 교원, 조교, 행정 직원 등 을 포함하여 전체 144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1학년 17학급에 150명, 2학년 13학급에 152명, 3학년 13학급 155명으로 총 43학급에 457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내 건물은 본관, 탐구관, 형설관, 창조관, 예지관, 생활관, 백양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