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367 |
---|---|
한자 | 釜山大學校 |
영어의미역 | Pusan National University |
이칭/별칭 | 부산대,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장전동 4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백승충 |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국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대한민국 교육의 근본이념에 입각하여 학술의 심오한 이론과 응용 방법을 연구하고 가르치며, 국가와 인류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를 양성한다’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창의적이고, 개방적이며, 국가와 사회를 위해 지식을 활용하고 봉사할 줄 아는 참지식인과 글로벌 전문인과 같은 인재상을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진리, 자유, 봉사의 정신’이다.
[변천]
1945년 10월 9일에 경상남도청 회의실에 부산 시내 유지가 집합하여 민립대학설립기성회를 조직하고, 1946년 4월 30일에 문교부 대학교육과 고문관 롤리슨 중위가 국립 종합 대학교 설립안 추진 계획에 착수하였다. 같은 해 5월 15일에 설립 인가를 받아 교명을 부산대학으로 하고, 인문학부와 수산학부로 구성된 국립 종합 대학교로 경상남도 부산부 서대신동에서 개교하였다. 1947년 7월에 인문과 대학은 부산대학으로, 수산과 대학은 부산수산대학으로 분리되었다.
1953년 9월 15일에 「국립 학교 설치령」 공포에 따라 종합 부산대학교로 설치 인가를 받아 초대 총장으로 윤인구 박사가 취임하였다. 1954년 4월 1일에 대학원을 개설하였고, 1956년 11월 1일에는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을 개원하였다. 1959년 9월에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장전동에 본관 건물을 준공하여 이전하였다. 1961년에 대학 정비령에 의하여 부산수산대학 및 부산교육대학을 병합하였고, 1963년 3월 1일에 부산교육대학이, 1964년 1월 1일에는 부산수산대학이 다시 분리되었다. 2006년 3월 1일에 밀양대학교와 통합하여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2009년 3월 1일에는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를 개교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대학교는 각 캠퍼스별로 교육 활동이 구분된다.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는 종합 교육·연구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는 의·생명 특성화 캠퍼스로 대학 단지와 병원 단지로 구분하여 그에 관한 교육 연구 시설과 병원 등이 들어서 있다.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는 나노 과학 기술 분야의 핵심 전문 인력과 21세기 성장 산업인 생명 자원 과학 분야를 집중 육성하기 위한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다음은 부산대학교의 교육 현황이다. 1991년 3월에 부산대학교 유전체물성연구센터가 우수 과학 연구 센터[SRC]로 지정되었으며, 1993년 3월에는 부산대학교 환경기술·산업개발연구센터가 우수 지역 협력 연구 센터[RRC]로 지정되었다. 1994년 3월에 부산대학교 정밀정형 및 금형가공연구센터가 우수 공학 연구 센터[ERC]로 지정되었고, 동년 5월에 기초 과학 연구소가 교육부 중점 연구소로 지정되었으며, 같은 해 8월에는 공과 대학이 국책 지원 대학으로 지정되었다. 그해 12월에는 생산 기술 연구소가 교육부 중점 연구소로 지정되었다.
1995년 12월에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와 부산대학교 구강생물공학연구소가 교육부 중점 연구소로 지정되었다. 1996년 2월에는 환경기술산업개발연구소가 한국과학재단 지역 협력 연구 센터[RRC]로 지정되었으며, 그해 9월에 이공계 5개 연구소가 교육부 첨단 기자재 지원 대상 연구소로 지정되었다. 1997년 6월에 정보통신부로부터 정보 통신 분야 우수 대학원 지원 대상 학교로 지정되었다. 같은 해 11월에 교육 개혁 우수 대학 및 교육부로부터 국제 실무 전문 인력 양성 분야 지방 대학 특성화 사업 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1998년 2월에는 교육부 지정 가상 대학 시범 운영 기관으로 선정되었다.
2002년 1월에 평생 교육원이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부산 지역 평생 교육 정보 센터로 지정되었다. 동년 7월에는 첨단 조선 공학 연구 센터가 신설되어, 한국과학재단으로부터 우수 공학 연구 센터[ERC]로 지정되었다. 2004년 7월에는 ‘동남권 부품 소재 산학 협력 혁신 사업[기계, 자동차, 조선]’이 정부 산학 협력 중심 대학 사업에 선정되고, ‘BIT 융합 기술 산업화 지원 기반 구축 사업’ 주관 기관으로 선정되었다. 그해 9월에 ‘차세대 물류 IT 기술 연구 사업단’이 과학기술부 지방 연구 중심 대학 사업단에 선정되었다. 2005년 1월에는 한국학술진흥재단 2004년 선도 연구자 지원 사업 선정 및 협동 연구 지원 사업에 선정되었으며, 동년 9월에 2005 누리 사업 신규 대형 사업에 선정되었다. 같은 해 12월에는 부산대-부산시-독일 IFAM 공동 연구 센터를 설립하고, MOU 체결 및 미국 메릴랜드대학과 학술 협정을 조인하였으며, 글로벌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2006년 1월에 인문학 연구소가 2005 학술진흥재단 학술 연구 조성 사업 중점 연구소에 선정되었으며, 동년 동월에 전국 교육 대학원 평가 우수 학교에 선정되었다. 그해 4월에는 2단계 BK 21 사업에서 핵심 분야 14개, 과학 기술 분야 13개, 인문 사회 분야 5개, 전문 서비스 1개 등 전 분야에 걸쳐 모두 33개 사업이 선정되었다. 2007년에 한국연구재단의 인문 한국[HK] 지원 사업에서 인문 연구 분야 대형[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과 중형[점필재연구소]에 각 1개씩 모두 2개 연구 과제가 선정되었다.
2009년에는 부산대학교 기계기반융합부품소재인재양성센터의 사업이 한국연구재단의 지원 사업에 선정되었다. 2010년에 원전 핵심 기계 부품 고급 트랙 사업 및 스마트 전력 기기 고급 트랙 사업 등이 지식경제부 지원 사업에 선정되었다. 2011년에는 산업 기술 연구 기반 구축 사업 및 광역 경제권 연계 협력 사업, 풍력 발전 고등 기술 개발 사업 등이 지식경제부 지원 사업에 선정되는 등 현재 63개 사업단이 주요 국책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금정산 산기슭에 새벽 벌 닦아 노니/ 하늘도 넓어지고 포부도 높아져라/ 진리와 이상으로 불타는 젊은 학도/ 외치노니 학문의 자유 이곳이 우리들의 부산대학교.
2. 교표: 독수리, 책, 환(環)을 이미지화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독수리’는 웅비와 도약, 희망을 뜻하고, ‘책’은 학문과 진리 탐구를, 그리고 ‘’는 국립부산대학교의 머리글자 ‘ㄱ,ㅂ,ㄷ’을 도안화한 것이다. 또한 바깥 부분의 둥근 ‘환’은 평화와 공존을 의미하고 있다.
3. 상징탑: 구 정문에서 무지개문을 지나서 건설관과 인문관을 가르며 곧게 솟아오른 ‘웅비의 탑’은 학문과 예지를 길러 비상하려는 효원인의 패기를 상징한다. 금정산을 타고 나르는 독수리의 눈매와 날갯짓은 학문과 예지의 으뜸을 기약하는 효원인의 이상을 표현한다. 자연과 조화를 이룬 무지개문의 운치와 미래의 성취를 기약하는 웅비의 탑이 지닌 기상은 효원을 상징하는 명물이다.
[현황]
부산대학교는 4개의 특화된 캠퍼스로 구성된 복수 캠퍼스 체제를 갖추고 있다.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위치한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와 양산에 의·생명 특화 캠퍼스, 밀양에 나노·바이오 특화 캠퍼스가 구축되어 있다. 이외에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에 대학병원이 있는 부산대학교 아미캠퍼스가 위치하고 있다. 다만 부산대학교 아미캠퍼스는 교육 기능이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로 이전되고, 현재는 의료 시설로만 운용되고 있다.
2012년 4월 기준 학부 과정에 2만 1758명, 석사 과정에 6,875명, 박사 과정에 1,482명, 그리고 외국인 학생 948명으로 총 3만 115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지 면적은 126만 8464㎡, 체육장 면적은 4만 1385㎡, 연습림 면적은 4만 1284㎡, 약초원 면적은 1만 4128㎡, 기타 면적은 280만 932㎡로, 총 412만 4808㎡이다. 조직은 본부 3처 1국 8과, 대학원 1개, 전문·특수 대학원 11개, 단과 대학 15개, 학부 1개, 교육 기본 시설 1개, 지원 시설·부속 시설 39개, 연구 시설 106개, 대학[원] 부속 시설 12개, 법인·기타 시설 8개로 이루어져 있다.
전문 대학원으로 국제 전문 대학원, 의학 전문 대학원, 치의학 전문 대학원, 한의학 전문 대학원, 법학 전문 대학원이 있으며, 특수 대학원으로 경제 통상 대학원, 경영 대학원, 행정대학원, 교육 대학원, 산업 대학원, 환경 대학원이 있다. 단과 대학은 인문 대학, 사회 과학 대학, 자연 과학 대학, 공과 대학, 법과 대학, 사범 대학, 상과 대학, 경제 통상 대학, 경영 대학, 약학 대학, 생활 환경 대학, 예술 대학, 나노 과학 기술 대학, 생명 자원 과학 대학, 간호 대학이 있다. 학부로는 스포츠과 학부가 있다.
부속 기관으로는 중앙 도서관, 연구 도서관, 산학 협력단, 전산 정보원, 종합 인력 개발원, 기초 교육원, 국제 언어 교육원, 정보 전산원, 박물관, 평생 교육원, 보육 종합 센터, 대학 생활원, 보건 진료소, 방송국, 부산대학교언론사, 상남 국제 회관, 체육부, 예비군 연대, 공동 실험 실습관, 공과 대학 부속 공장,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고등학교,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수원,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교육연수원,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부속 약초원 및 동물실험센터 등이 있다.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40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는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청학리 50번지에 위치해 있다[전화번호:055-350-5100].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는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범어리 2762-1번지에 위치해 있고[전화번호:051-512-0311], 부산대학교 아미동캠퍼스는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1가 10-1번지에 위치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