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6·25 전쟁기 민간인 학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769
한자 六二五戰爭期民間人虐殺
영어의미역 Civilian Massacre during the Korean War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인 학살 사건
관련인물/단체 국민보도연맹
발생|시작 시기/일시 1950년 7~9월연표보기 - 국민보도연맹원, 부산형무소 재소자 집단 학살
발단 시기/일시 1949년 6월 21일연표보기 - 국민보도연맹 창설
전개 시기/일시 1950년 7월 - 국민보도연맹원에 대한 예비 검속 실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2월 -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 출범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1월 -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에서 국민보도연맹 학살 희생자 수 규명
발생|시작 장소 동매산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지도보기
발생|시작 장소 동래 베네스트 골프장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산 128지도보기
발생|시작 장소 운봉 마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
발생|시작 장소 회동 수원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오륜동지도보기
발생|시작 장소 청사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지도보기
발생|시작 장소 오륙도 인근 해상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발생|시작 장소 혈청소 인근 해상 -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지도보기
발생|시작 장소 미니 공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산 134-1지도보기
발생|시작 장소 부산 터널 위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지도보기
발생|시작 장소 부산형무소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13 일원

[정의]

1950년 6·25 전쟁 기간 동안 대한민국 정부가 부산 지역에서 저지른 민간인 학살 사건.

[역사적 배경]

1948년 10월 여순 사건이 일어나자 대한민국 정부는 남한 내 좌익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색출에 나섰다. 이를 위해 그해 12월 1일 「국가 보안법」을 제정·공포하였고, 이듬해 6월 21일 좌익 세력을 대상으로 한 전향 단체인 국민보도연맹을 창설하였다. 「국가 보안법」이 강력한 제재 수단이었다면 국민보도연맹은 포섭 유인책으로, 좌익 세력 근절을 위한 강온 양면 전략이었다. 그러나 1950년 6월 25일 6·25 전쟁이 터지면서 이런 반공 시책은 한국사에 전례가 없는 대규모 학살로 이어졌다. 부산에서 저질러진 민간인 학살은 크게 국민보도연맹 학살과 부산형무소 재소자 학살로 구분할 수 있다.

[경과]

부산 지구 CIC와 부산 지구 헌병대, 경찰은 1950년 7월 초 국민보도연맹원에 대한 예비 검속에 들어갔다. 체포된 국민보도연맹원들은 지역 경찰서 유치장이나 경찰서 인근의 임시 구금 시설에 감금되었고 일부는 부산형무소에 수감되었다. 국민보도연맹원들은 얼마 지나지 않아 살해되기 시작하였다. 재판 등 법적 절차도 없이 야산이나 해안으로 끌려가 살해되었다. 아무런 범죄도 저지르지 않은 민간인을 국민보도연맹원이라는 이유로 무차별적으로 살해한 것이다. 국민보도연맹 가입자 중 상당수가 좌익 사상과는 무관한 민간인이었다.

부산 지역에서는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동매산, 금정구 선동 동래 베네스트 골프장, 동래구 반송동 운봉 마을, 금정구 오륜동 회동 수원지, 해운대구 청사포, 오륙도 인근 해상, 서구 암남동 혈청소 인근 해상 등지에서 학살이 이뤄졌고 영도구 동삼동 미니 공원과 중구 영주동 부산 터널 위 야산에는 수백구의 시신이 암매장되었다.

비슷한 시기 부산형무소에 수감되어 있던 재소자도 집단 살해되었다. 당시 부산형무소는 대구, 마산, 진주 등 다른 형무소 재소자들까지 이감되어 매우 혼란스런 상황이었다. 목숨을 잃은 재소자는 6·25 전쟁 발발 이전에 형을 선고받고 수감 중이던 재소자와 전쟁 발발 직후 예비 검속되어 구금된 민간인, 다른 지역 형무소에서 이감된 재소자 등이었다. 군경은 재소자를 끌어내 트럭에 실은 뒤 인적이 드문 야산이나 해안으로 데려가 총살하거나 수장하였다.

부산형무소 집단 학살과 관련해 당시 국군 3사단 군사 고문단 소속 롤링스 에머리치(Rollings S.Emmerich)는 「1950년 6·25 전쟁 초기의 역사」라는 제목의 비망록에서 1950년 7월 1일 23연대장 김종원이 재소자 3,500명을 한꺼번에 집단 살해하려는 것을 저지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때 미군은 인민군이 낙동강에 이르면 부산형무소 문을 열고 기관총으로 재소자를 쏘아 죽여도 좋다는 말을 남겼고 결국 대학살이 벌어졌다.

[결과]

부산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의 피해 규모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전국에서 피란민이 몰려든 데다 다른 지역 재소자까지 함께 수감되면서 극도로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이 두 사건의 진상을 알려줄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도 문제다. 전쟁기간 동안 많은 기록이 없어졌고 1961년 5·16 군사 정변 세력이 피학살양민유족회를 탄압하면서 남아 있던 다른 기록마저 모두 파기했기 때문이다.

2005년 12월 출범한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는 국민보도연맹 학살과 관련해 희생자가 전국적으로 4,722명으로 확인됐다고 2009년 11월 국민보도연맹 사건 진실 규명 결정서에서 밝혔다. 동 위원회는 이 결정서에서 부산, 동래 지역[동래는 학살 당시 경상남도 동래군이었음]에 최소 700명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하는 한편 확인된 희생자는 31명이라고 밝혔다.

동 위원회는 부산형무소 학살에 대해서는 최소 1,500명의 재소자와 국민보도연맹원 및 예비 검속자가 희생되었다고 추정하고 확인된 희생자는 148명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 같은 희생자 수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1961년 4·19 혁명 직후 결성된 동래유족회가 발굴한 유골만 해도 713구에 이른다. 오륙도암남동 혈청소 인근 해상에서도 엄청난 수의 인명이 희생되었고 동삼동 미니 공원과 신평동 동매산, 부산 터널 위 등지에는 아직도 수백 구의 유골이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6·25 전쟁 때 부산에서 저질러진 민간인 학살은 인민군 비점령 지역에서 저질러진 사건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경기도와 충청도 등 북쪽 지역에서는 인민군의 급속한 남하로 국민보도연맹원을 예비 검속할 시간적 여유가 부족했기 때문에 부산, 경상남도에 비하면 피해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았다. 부산에서 큰 피해가 발생했음에도 그 실체가 잘 드러나지 않은 것은 바다와 접해 있는 지리적 특성에 한 원인이 있다. 해상에서 집단 학살이 이뤄질 경우 목격자를 찾기 힘들고 증거도 남지 않기 때문이다. 부산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의 과반수가 해상에서 저질러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게다가 임시 수도로 외지인이 대거 몰려 혼란을 겪으면서 이 사건이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한 것도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