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795
한자 福泉寺
영어의미역 Bokcheonsa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 3가 산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찰
창건자 나옹 선사
전화 051-417-5551
홈페이지 복천사(http://bokc.co.kr)
개칭 시기/일시 1921년연표보기 - 해운암에서 복천암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73년연표보기 - 복천암에서 복천사로 개칭
중수|중창 시기/일시 1921년연표보기 - 대웅전 중창
중수|중창 시기/일시 1953년연표보기 - 대웅전 등 중창
중수|중창 시기/일시 1973년연표보기 - 명부전, 산신각, 칠성각 등 중창
중수|중창 시기/일시 2006년연표보기 - 대웅전 중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2월 27일연표보기 - 「복천사 지장시왕도」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61호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2월 27일연표보기 - 「복천사 아미타 극락 회상도」 유형 문화재 제62호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2월 27일연표보기 - 「복천사 석가 영산회상도」 부산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35호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7월 3일연표보기 - 『선원제 전집 도서』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66호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9월 7일연표보기 - 복천사 현왕도 및 복장 유물 일괄 부산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39호로 지정
최초 건립지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 3가 산 6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 3가 산 6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범어사 소속 사찰.

[건립 경위 및 변천]

복천사(福泉寺)는 부산 영도 지역에서 고찰로서는 대표적인 사찰로서 구전에 의하면 고려 말기 나옹 선사(懶翁禪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고려 시대 해운암이라는 이름으로 존속해 왔으며, 조선 시대에 이르러 억불 정책과 함께 왜적이 자주 침입한다는 이유로 절영도에 마을이 폐쇄되고 목마장으로 운영되는 동안 사찰은 명맥만 유지하다가 1800년대에 직지사의 승려 김선주가 옛 명맥을 살펴 이곳에 토굴을 만들고 수행 정진하면서 다시 수행 승려들의 발길이 머물기 시작하였다.

1921년 부산을 비롯한 영남 지역 전통 불교 미술의 대불모(大佛母)이며 조각가인 양완호(梁玩虎) 화상이 계곡에 흐르는 물이 좋다고 하여 복천암으로 개명하였고, 전통 불교 미술의 계승 발전을 위해 불화소(佛畵所)를 운영하면서 옛 대웅전을 중창하였다. 그 후 제자인 승려 임영주(林英珠)가 1953년에 주지가 되면서 대웅전 및 사찰을 일부 중창하였고, 1973년 월공당 도해가 하안거(夏安居)부터 주지로 주석하면서 조계종 복천사로 다시 개명하고 명부전, 칠성각, 산신각, 용왕단, 요사 3층, 종각, 주지실 등 중창에 버금가는 제반 불사를 원만하게 이루어 기도 도량으로서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2006년 2월 낡은 대웅전을 해체한 뒤 중창 불사에 착수하여 개산대제(開山大祭)에 맞춰 10월 29일 상량식을 봉행하였다. 대웅전은 과거 약 59.4㎡[18평] 규모이던 것을 약 138.6㎡[42평] 규모의 전통 사찰 목조 건물 양식으로 건립하였다.

[활동 사항]

복천사에서는 정기 법회와 연중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정기 법회는 신장 기도 법회, 지장 기도 법회, 관음 기도 법회 및 「천수다라니(千手陀羅尼)」 기도 등이 있다. 이와 관련된 복천사 신행 단체는 복천사 신도회와 신장회원, 지장회원, 관음회원 등이 있다. 복천사에서는 향후 불교 교양 대학을 개설할 계획이다. 한편 연중행사로는 정초 관음 기도, 정월 대보름 용왕 법회, 입춘 삼재 불공, 부처님 출가일 불공, 부처님오신날 법회, 백중 기도, 칠석 기도, 개산제 및 산사 음악회, 동지 불공, 성도 재일 등이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동쪽으로는 영도 봉래산이 바라보이고 서쪽으로는 송도 앞바다와 멀리 감천만이 바라보이는 곳에 자리한 복천사는 먼저 입구의 종각에 들어서면 사찰의 안뜰을 만난다. 안뜰에는 종각과 마주보고 대웅전이 있고, 대웅전 왼쪽으로 명부전, 칠성각, 약사전, 산신각 등이 있다. 또 대웅전 오른쪽으로는 무설당[종무소], 감로당, 학생관 등이 있다.

[관련 문화재]

화기(畵記)를 통해 1892년(고종 29)에 제작된 그림임을 알 수 있는 「복천사 지장 시왕도(福泉寺地藏十王圖)」는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61호로 지정되었다. 이외에도 「복천사 아미타 극락회상도(福泉寺阿彌陀極樂會上圖)」[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62호],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66호], 「복천사 석가 영산회상도(福泉寺釋迦靈山會上圖)」[부산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36호], 복천사 현왕도 및 복장 유물 일괄(福泉寺現王圖및服藏遺物一括)[부산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39호] 등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8.27 법정공휴일 명칭 현행화 석가탄신일 -> 부처님오신날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