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372 |
---|---|
한자 | 菉山- |
영어의미역 | Lion Rock and Monster Serpent in Noksan |
이칭/별칭 | 「사자바위 전설」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
집필자 | 김현주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본동 마을에서 사자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녹산의 사자바위와 이무기」는 성질이 사나운 수컷 이무기가 말썽만 피우다가 산신에게 혼나고 사자바위로 변했다는 암석 유래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1992년 부산대학교 부설 한국문화연구소에서 발행한 『녹산 문화 유적 학술 조사 보고서』에 「사자바위 전설」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2년 1월 3일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본동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윤병태[남, 73]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내용]
옛날에 독사리목(禿沙悧木)[강서구 녹산동 성산 마을의 노적봉]에 이무기 내외가 살았는데, 수컷 이무기가 성질이 사나워서 독사리목을 지나가는 배들이나 행인을 해치는 경우가 허다했다. 암컷 이무기가 수컷 이무기의 사나운 장난을 말렸지만 소용없었다. 수컷 이무기는 그 근방에 물을 따라갈 수 있는 곳에는 다 가서 온갖 장난을 했는데, 하루는 잠뫼[강서구 구랑동]에 가서 사나운 장난을 했다. 그랬더니 그곳에 사는 산신이 내려와 “여기는 내가 사는 곳인데, 네가 어디 함부로 와서 이런 장난을 하고 사람과 짐승을 해치느냐. 도저히 용서할 수 없다. 물러날 것이냐, 나하고 싸울 것이냐?”라고 했다. 그래도 수컷 이무기가 순순히 돌아가지 않자, 화가 난 산신이 이무기를 혼내 주었다. 수컷 이무기는 “두고 보자.” 하고 돌아갔다.
며칠 뒤, 하늘이 새까매지면서 천둥이 일어나고 바닷물이 끓어오르듯이 하여 큰 난리가 났다. 그러다가 갑자기 조용해지면서 수컷 이무기가 온데간데없이 사라져 버렸다. 암컷 이무기가 남편을 찾아보니, 옆에 지금까지 없던 큰 바위가 하나 생겼는데 그 바위에서 수컷 이무기의 영혼이 “부인아, 내가 여기 있다. 내가 진작 당신 말을 듣고 점잖아졌더라면 이런 꼴이 안 되었을 텐데. 참 후회막급하다.”라는 말이 들렸다. 그 바위를 지금 일컬어 사자바위라고 한다.
[모티프 분석]
「녹산의 사자바위와 이무기」의 주요 모티프는 ‘암석 유래’이다. 이와 같이 바위가 생겨난 유래와 그 지형의 모습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암석 유래 모티프와 관련된 이야기는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다. 「녹산의 사자바위와 이무기」는 우리 전설에 자주 등장하는 이무기와 관련지어 사자바위의 유래를 설명한 점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