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043
한자 九郞洞
영어의미역 Gurang-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구랑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동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김해군 녹산면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89년 - 경상남도 김해군 녹산면에서 부산직할시 강서구 구랑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강서구 구랑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구랑동으로 개편
법정동 구랑동 - 부산광역시 강서구 구랑동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천마산 봉우리가 아홉 개여서 구절봉이라고 하는데, 이 구절이 음변하여 구랑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또 옛 신라 시대 낭관을 지낸 아홉 사람이 살았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마을이라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구랑동은 조선 후기 김해군 토야면에 속해 있었다. 원래 토야면은 산 안쪽의 범방·탑동·구랑·소압·미음·상룡·중곡·지사·생곡의 9리였는데 1914년 녹산면[바다 쪽의 녹산·화전·송정의 3리]에 병합되었다. 1989년 경상남도 김해군 녹산면이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며 녹산면 구랑리구랑동이 되었다. 이후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구량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서쪽은 보개산, 동쪽은 봉화산, 북쪽은 천마산에 둘러싸인 분지 형태이다. 매봉산[81m, 산세가 매처럼 생겼다고 붙여진 이름]·봉화산[228m, 정상에 봉수대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월잠산[324m, 잠봉이라고도 하며 임진왜란 때 장수가 군수 물자를 묻었는데 이를 도굴할 때마다 하늘이 노하였다는 전설이 전함]·천마산[242m, 산세가 말이 하늘을 나는 것 같다고 붙여진 이름] 등의 산이 있고, 서곡[모습이 쥐와 비슷하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장곡[구랑동에서 송정동으로 넘어가는 골짜기] 등의 골짜기와 봉화 고개 등이 있다. 봉화산 절벽 아래에 사자암이 있다.

[현황]

구랑동송정동, 화전동, 생곡동, 녹산동, 지사동, 미음동, 범방동, 신호동과 합해 행정동인 녹산동에 속한다. 자연 마을로 구랑 마을압곡 마을이 있다. 구랑 마을은 미음 신도시 지구에 속해 있어 많은 지역 변화가 예상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