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147 |
---|---|
한자 | 鴨谷- |
영어의미역 | Apgok Villa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구랑동 미음 지구 산업 단지 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규성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구랑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압곡(鴨谷)의 옛 이름은 압실(鴨室)로 주변 지세와 관련한 지명이다. 마을 주변의 산세가 ‘이끼 야(也)’ 자 형국으로, 보개산과 어산, 그리고 매봉산에 둘러싸여 ‘흰 오리가 먹이를 찾아 내려오는 모양[백압하가형(白鴨下架形)]이라 하여 ’오리 압(鴨)‘ 자를 써 압곡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이 자리는 백자천손(百子千孫)이 대를 이어 조정에 가득 찰 것이라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압곡 마을은 400여 년 전 함종 어씨(咸從魚氏)가 보개산 어산(魚山) 자락에 터를 잡으며 형성되었다고 전한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조선 후기 김해군 토야면에 속하였으며, 이후 태야면으로 개칭되었다. 1914년 녹산면[바다 쪽의 녹산·화전·송정의 3리]에 병합되어 경상남도 김해군 녹산면 구랑리 압곡 마을이 되었다. 1989년 경상남도 김해군 녹산면이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며 강서구 구랑동에 속하게 되었으며,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구랑동 압곡 마을이 되었다. 마을은 큰 압실[대압(大鴨)], 작은 압실[소압(小鴨)], 송곡(松谷), 잠뫼(蠶峰) 등 4개의 작은 취락으로 이루어졌고, 마을 내에 ‘함종 어씨 효자정려 비각’과 어씨 집안의 제실인 사령제(思令祭)가 있었다. 2008년 미음 지구 산업 단지가 조성되면서 주민이 이주하여 마을이 사라졌다.
[자연 환경]
서쪽에는 보개산, 동쪽에는 봉화산이 있고, 두 산줄기가 남쪽에서 이어져 있다. 마을은 보개산 자락에 위치해 있었으며, 보개산에서 뻗은 어산과 잠봉이 낮은 언덕을 형성하였다. 동남쪽의 산지에서 흘러내린 구랑천이 북으로 흘러 지사천(智士川)에 합류하였다.
[현황]
현재 미음 지구 산업 단지 조성 공사가 진행 중이다. 산업 단지 조성을 위해 전 주민이 이주하였고, 평탄화 작업이 진행되어 옛 흔적을 찾을 수 없이 지형이 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