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4206 |
---|---|
영어의미역 | Sand Bag Game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
집필자 | 조수미 |
[정의]
부산 지역에서 정월의 첫 쥐날[上子日]에 주머니를 만들어 차는 풍습
[개설]
주머니 차기는 음력 새해의 첫 쥐날에 주머니를 매달면 일 년 내내 좋지 않은 기운을 쫓아낼 뿐만 아니라 부자가 된다고 하여 행하는 기복(祈福) 풍속이다. 이렇게 주머니 차기를 하면 쥐가 곡식을 물어와 주머니를 채워 그해 재물이 모인다고 한다.
[연원 및 변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와 『경도잡지(京都雜志)』에 “상해일은 돼지날이고, 상자일은 쥐날이다. 조선조 고사에 궁중에서 나이가 젊고 지위가 낮은 환관 수백 명이 횃불을 땅 위에 이리저리 끌면서 ‘돼지를 태우자, 쥐를 태우자’라고 부르짖었다. 또 임금은 곡식의 씨를 태워 주머니에 넣어 재신(宰臣)과 근시(近侍)들에게 나누어 주었으니 풍년을 비는 뜻을 보인 것이다.”라고 하였다. 첫 쥐날에 주머니를 만들어 차는 것은 이때부터 연원이 있는 듯하다.
[절차]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에서는 정월의 첫 쥐날에 주머니를 만들어 옷고름이나 허리춤에 매단다. 주머니는 조그마한 물건이지만 부적과 같은 의미가 담겨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부산광역시 기장군에는 정월 첫 쥐날과 연관된 다음과 같은 금기가 있다. 정월 첫 쥐날에는 쥐가 파먹는다고 씨나락[씻나락, 볍씨]을 안 담근다[기장군 기장읍 시랑리 동암 마을]. 첫 쥐날 구멍을 뚫는 일을 하면 재수 없거나[기장군 철마면 고촌리·이곡리, 기장읍 시랑리, 장안읍 좌천리], 쥐가 많이 생긴다[기장군 장안읍 오리 대룡 마을, 장안읍 기룡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