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414
한자 二賢祠
영어의미역 Ihyeonsa Temple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산막 마을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황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당
정면칸수 정면 3칸
소유자 경주 김씨 문중
관리자 경주 김씨 문중
현 소재지 이현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산막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산막 마을에 있는 일제 강점기 경주 김씨의 사당.

[개설]

이현사(二賢祠)경주 김씨 김윤룡(金潤龍)김방한(金邦翰)을 모시는 사당이다. 김윤룡임진왜란 때 다대포 첨절제사(多大浦僉節制使)와 부산 진관을 맡아 공을 세운 인물이다. 김방한은 사기장 출신의 문장가이며, 우리나라 주역 관련 편찬 인물로 등재되어 있다.

[위치]

이현사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산막 마을에 위치한다.

[변천]

이현사는 일제 강점기 때 만들어져 지금까지 증개축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형태]

정면 3칸 규모의 기와지붕 건물이다. ‘이현사’라는 편액 앞에 ‘덕일재(德一齋)’, 그리고 정면에서 왼쪽에 ‘오산정(鰲山亭)’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각각의 편액에는 기문이 함께 남겨져 있다. ‘오산정’은 김방한의 호가 오정(鰲亭)이라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현황]

현재 이현사의 소유자 및 관리자는 경주 김씨 문중으로 되어 있다. 종손 등 후손들에 의한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대책이 요구된다.

[의의와 평가]

이현사는 부산의 기장 지역을 대표하는 유학자인 김방한김윤룡의 흔적이 남겨져 있는 중요한 사당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