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343 |
---|---|
한자 | 卞魯燮 |
영어음역 | Byun Nosub |
이칭/별칭 | 국봉(菊峯)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1동 76-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허윤철 |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언론인.
[활동 사항]
변노섭(卞魯燮)은 1930년 3월 3일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일암리 313번지에서 태어났다. 1952년 경상대학 농학과를 중퇴한 후 1955년 건국대학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 졸업 후 1955년부터 1957년까지 마산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다 1959년 언론계에 투신하여 1961년까지 『국제 신보』 논설위원으로 활약하였다. 그러나 5·16 군사 쿠데타 당시 필화 사건을 겪으며 1961년 11월 군사 정권에 의해 구금된 뒤 혁명재판소에서 징역 10년형을 선고받고 3년여를 복역하였다.
1964년 특별 사면된 변노섭은 1966년까지 마산고등학교 교사로 활동하다 1966년 『경남 신문』 편집국장으로 언론계에 복귀하여, 1967년에서 1980년까지 『국제 신문』 논설위원을 지냈다. 1971년 부산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를 취득하였으며, 1980년 언론 통폐합 이후에는 『부산 일보』 논설위원으로 활약하였다. 1987년 『부산 일보』 수석 논설위원을 역임했으며, 1988년 건국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하였고, 1989년 『국제 신문』이 복간되자 주필로 활약하였다.
1989년에 변노섭은 대한적십자사 부산지사 부지사장을 맡기도 했으며, 1991년에는 『부산 매일 신문』과 『부산 경제 신문』의 논설 고문을 역임하는 등 부산의 언론계에서 활약하였다. 1992년에 월간 『건강 만세』를 발행하였고, 1994년 대한적십자사 부산지사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2005년 1월 10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저서로 『케일 녹즙의 위력』[부산자연건강회, 1982]이 있다.
[상훈과 추모]
2008년 경상대학교에서 개교 60주년을 기념하며 시상한 ‘제1회 개척 언론인 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