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언론 통폐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205
한자 言論統廢合
영어의미역 Policy for Merger and Abolition of the Press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언론·출판,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병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언론 탄압 사건
관련인물/단체 정순민|전두환|허문도|이상재|국제신문사|보안사 부산 지구대
발생|시작 시기/일시 1980년 11월연표보기 - 신군부의 언론사 통폐합 실시
종결 시기/일시 1980년 11월 19일연표보기 - 부산일보에서 국제신문 인수
발단 시기/일시 1980년 6월 - 신군부가 언론계 정화 계획 수립
전개 시기/일시 1980년 11월 12일 - 국제신문 사장과 발행인 포기 각서 제출
발생|시작 장소 보안사 부산 지구대 - 부산광역시
종결 장소 보안사 부산 지구대 - 부산광역시

[정의]

1980년 말 부산 등지에서 언론사를 강제 통폐합한 조치.

[역사적 배경]

1980년 6월 전두환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은 언론을 장악하기 위하여 ‘언론계 정화계획’을 수립한 뒤 같은 해 11월 소위 ‘언론 창달 계획’ 아래 전국의 64개 언론사를 신문사 14개, 방송사 3개, 통신사 1개로 강제 재편했다. 이 과정에서 부산의 국제신문을 비롯한 지방지 8곳, 중앙지 1곳, 경제지 2곳, 방송사 27곳, 통신사 7곳 등 모두 45개 언론사가 통폐합의 아픔을 겪었다. 신군부는 7월에는 신문 기자 등 반(反) 정부 성향의 언론인 336명을 해직 대상자로 분류하여, 해당 언론사에 통보하였다. 이를 시작으로 10월까지 933명의 언론인이 강제 해직되었다.

언론 통폐합은 형식적으로는 언론의 자율적인 구조 개편의 형식을 띠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정권을 잡은 신군부 세력의 언론 장악을 위한 강제 조치였다. 언론 기업의 발전과 공공성 강화, 처우 개선 등을 통한 언론인 자질과 전문성 제고, 언론에 대한 윤리 심의 기능 활성화 등을 내세웠지만 효과적으로 언론을 통제해 정권 홍보에 활용하려는 속셈이 숨어 있었다.

[경과]

1980년 11월 신군부 측은 허문도 대통령 정무 비서관, 이광표 문공부 장관, 이상재 보안사 언론 대책반장, 김충우 보안사 대공처장 등을 내세워 언론사를 강제로 통폐합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그 결과 ‘1도 1사’의 강제 조치에 따라, 부산의 대표적인 야당 성향의 신문이자 전국 4대 일간지의 하나였던 국제신문이 부산일보에 흡수 통합되었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1980년 11월 12일 보안사는 언론사 사주들을 사무실에 감금한 뒤 포기 각서를 받아냈다.

국제신문 정순민 사장은 보안사 부산 지구대 정보과장실로 연행돼 6시간 동안 강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경영권 포기를 강요받았다. 정 사장은 “회사 경영 상태로 보나 신문 판매 부수로 보나, 어떻게 전국 4대지인 국제신문이 약세인 부산일보에 흡수돼야 하는가”며 버텼으나 끝내 포기 각서를 쓸 수밖에 없었다. 같은 시간 서울 보안사령부에서도 구자경 국제신문 발행인이 보안사의 강요에 의해 경영권 포기 각서를 쓰고 말았다. 그로부터 7일이 지난 11월 19일 250억 원에 달했던 자산을 가진 국제신문은 7억 9000여 만 원의 헐값에 부산일보에 인수되었다.

[결과]

신군부의 언론 통폐합 대상이 된 45개 언론사들은 1980년 11월 17일 사고(社告)를 통해 독자들에게 통폐합 사실을 알렸고, 30일까지 모든 통폐합 작업은 당국에 의해 마무리되었다. 이로써 12월 1일부터 새로이 개편된 언론 구조가 출범하였다. 하지만 2011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약칭 진실화해위원회 또는 진화위]는 제5 공화국 당시 신군부가 정권을 장악할 목적으로 언론 통폐합 사건에 관여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의의 및 평가]

전두환 등 신군부 측이 단행한 언론 통폐합 조치는 언론 구조 개선이란 미명 아래 신문과 방송, 통신사 등 언론 매체를 강제로 통폐합하여 신군부 세력의 내란 완성을 위해 치밀하게 추진한 집권 시나리오의 일부로 밝혀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