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언론 검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203
한자 言論檢閱
영어의미역 Press Censorship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승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언론 탄압 사건
관련인물/단체 전두환|언론 검열단|국제신보사|부산일보사
발생|시작 시기/일시 1980년 2월 1일 - 보안사령부에 언론 조종반 설치
종결 시기/일시 1986년 9월 - 『말』 지에 보도 지침 기사 게재
발단 시기/일시 1979년 10월 27일 - 전국에 비상 계엄령 선포
전개 시기/일시 1980년 5월 2일연표보기 - 부산진경찰서 출입 기자 자유 언론 확보 선언
전개 시기/일시 1980년 5월 6~9일 - 국제 신문사 기자 철야 농성

[정의]

1980년대 부산 등지에서 실시된 전두환 정권의 언론 통제.

[역사적 배경]

1980년 2월 1일 전두환의 신군부는 보안사 사령부의 정보처에 ‘언론 조종반’을 신설하고, 이곳의 언론 검열단을 중심으로 이른바 ‘K 공작 계획’으로 불리는 언론 검열을 시작하였다. 5월 17일 비상 계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하면서 언론, 출판, 보도의 사전 검열을 본격화하였다. 보안사나 문화공보부의 홍보 정책실은 거의 매일 언론사에 기사 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과 보도 지침을 시달하였고, 모든 기사는 언론 검열단의 철저한 사전 검열을 받아야 했으며, 민주화 운동 관련 보도는 철저하게 통제되거나 왜곡되었다.

또한 언론 검열단은 언론사에 상주하면서, 중진 언론인의 회유는 물론 언론사의 사설이나 논조에 대한 다양한 조작을 시도하였다. 박정희의 피살로 전국에 비상 계엄령이 내려진 1979년 10월 27일부터 1981년 1월 24일까지 455일의 계엄 기간 동안 신문 1만 1489건, 방송 7,015건, 통신 6,891건 등 총 2만 7070건의 기사가 삭제되었다.

[경과]

전두환 집권 초기 계엄사가 주도한 언론 통제는 주요 일간지는 물론, 대학 신문에도 실시되었다. 부산 지역의 대학에도 언론 검열관이 상주하며 대학 신문을 사전 검열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현재 부산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는 1980년 초 『부대 신문』에 선명하게 찍힌 ‘언론 검열단’의 직인에서 확인된다. 이에 1980년 3월 서울을 비롯하여 부산 지역에서도 ‘검열 철폐’와 ‘제작 거부’ 운동이 본격적으로 벌어졌다.

부산진경찰서 출입 기자들이 5월 2일 자유 언론 확보 선언을 한 데 이어, 국제신문 기자들은 6일부터 9일까지 ‘검열 철폐’, ‘편집권 독립’, ‘노조 결성 보장’ 등을 요구하고 신문 제작을 지연시키며 철야 농성에 돌입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5월 17일 전국적인 비상계엄 아래서 전격적으로 단행된 예비 검속과 이어진 비판적인 언론인 및 정치인에 대한 해고와 검거 선풍 아래서 탄압받았다. 해직 기자들은 블랙리스트에 올라 재취업을 거부당하면서 생존권 위협에 직면하였다.

[결과]

신군부의 언론 통제와 검열은 1986년 9월 『말』이라는 월간지에 ‘보도 지침 사건’으로 전모가 드러나기까지 집요하게 진행되었다. 당시 『말』에 소개된 바에 따르면, 1985년 10월부터 1986년 8월까지 문화공보부가 각 언론사에 시달한 보도 지침만 해도 584건에 이른다.

[의의와 평가]

전두환 정권의 언론 검열 사건은 억압적 권력이 민주적 정치 활동의 가능성을 봉쇄하는 데 언론 통제와 검열이 중요한 무기가 됨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동시에 언론인의 실천 운동을 통해 통제와 검열의 실체가 드러나고 언론 자유가 확보되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