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585
한자 宋昌文
영어음역 Song Changmun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영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신
성별
본관 은진(恩津)
대표관직 통정대부 병조 참의에 증직
출생 시기/일시 1564년 9월 10일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92년 -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 김정서의 진영에서 종군
몰년 시기/일시 1610년 10월 12일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37년 8월 - 통정대부 장예원 판결사에 증직
추모 시기/일시 1769년 9월 - 통정대부 병조 참의에 증직
출생지 송창문 출생지 - 충청도 회덕
거주|이주지 송창문 거주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묘소|단소 송창문 묘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사당|배향지 세덕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지도보기

[정의]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부산에서 전공을 세운 별전 공신.

[가계]

본관은 은진(恩津). 은진 송씨(恩津宋氏)의 시조인 판원사(判院事) 송대원(宋大原)의 11대 후손이다. 할아버지는 진사 송세감(宋世勘)이고, 아버지는 제용감 직장(直長) 송종(宋琮)이다. 부인은 숙부인 함안 조씨(咸安趙氏)이다.

[활동 사항]

송창문(宋昌文)은 1564년 9월 10일 충청도 회덕에서 태어나 1610년 10월 12일 사망한 사람으로, 임진왜란 때 동래 지역에서 전공을 세운 인물 66명 중 한 사람이다. 1808년 간행된 『충렬사지(忠烈祠誌)』에 기록이 실려 있다. 1760년(영조 36) 부사 홍명한(洪名漢)이 충렬비각을 중수(重修)하고 별전공신 24명의 이름을 게판(揭板)에 써서 벽에 걸었다. 그때 게판에 송창문의 공적에 대해 “임진년 7월부터 본부 의병장 김정서(金廷瑞)의 진영에서 종군하였다[自壬辰七月本府義兵將金廷瑞陣從軍]”라고 기록되었다. 1808년(순조 8) 부사 오한원(吳翰源)이 동래 고을 선비들에게 『충렬지(忠烈誌)』의 개간(開刊)을 지시하고 다시 게판을 써서 걸며 송창문의 군공(軍功)을 현창하였다.

[묘소]

송창문의 묘소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에 있고, 부인 함안 조씨의 묘소는 금정구 구서동 태광산업 뒷산에 있다.

[상훈과 추모]

동악(東岳) 이안눌(李安訥)이 동래 부사로 부임하여 1608년 군공을 세운 24명을 특별히 선정하여 ‘임진 기의 토적 공신 24인(壬辰起義討賊功臣二十四人)’[현재는 24별전공신이라 칭함]이라 호칭하고, 포충 복호(褒忠復戶)[충성을 포상하고 부역을 면제함]를 하였다. 그 후 두 차례에 걸쳐 증직(贈職)이 되었고, 동래부 충의단(忠義壇)에 모셔졌다.

송창문에게는 1737년(영조 13) 8월 경상 관찰사 민응수(閔應洙)가 증직을 계청(啓請)하여 통정대부(通政大夫) 장예원(掌隸院) 판결사(判決事)[정3품]에 증직되었고, 1766년 동래 부사 강필리(姜必履)가 자손들에게 모충 결의계(慕忠結義契)를 만들게 하였으며, 관찰사 김응순(金應淳)이 『포충 속후록(褒忠續後錄)』과 ‘완호문(完護文)’을 만들어 자손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1769년 9월 관찰사 김한기(金漢耆)가 가증(加贈)을 계청하여 통정대부 병조 참의(兵曹參議)[정3품]에 증직되었다.

한편, 송창문은진 송씨이지만,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에 있는 여산 송씨(礪山宋氏)의 재실인 세덕사(世德祠)에서 향사되고 있다. 후손 송기권이 교지와 『포충 속후록』을 소장하고 있다. 현재는 동래 충렬사에서 봉향(奉享)하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