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천천네트워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063
한자 大川川-
영어의미역 Daecheon-cheon Network
이칭/별칭 대천천 살리기 운동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양달로 64[화명동 31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정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회단체
홈페이지 대천천네트워크(http://cafe.daum.net/dccnetwork)
설립 시기/일시 2004년 6월 1일연표보기 - 설립
이전 시기/일시 2010년 11월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180-3에서 화명동 318로 이전
최초 설립지 대천천네트워크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180-3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대천천네트워크 - 부산광역시 북구 양달로 64[화명동 318]지도보기
현 소재지 대천천네트워크 - 부산광역시 북구 양달로 64[화명동 318]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환경 관련 시민 단체.

[설립 목적]

대천천네트워크는 2004년 화명 2동 주민자치센터와 지역 시민 단체인 화명포럼이 지역 자연 하천인 대천천을 중심으로 대천천과 지역 환경을 살리고 지역 공동체를 구축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2004년 6월 화명초등학교 졸업생을 중심으로 결성된 ‘화명포럼’과 아파트 추가 건설 반대를 위해 결성된 ‘화명 2동 발전위원회’가 통합하여 화명 2동 주민자치센터의 협력을 통해서 지역 환경 개선과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향상하기 위해 대천천네트워크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서 결성하였다. 2010년 11월 대천천 환경 문화 센터의 재개관과 함께 사무국을 대천천 환경 문화 센터로 이전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대천천네트워크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지역의 각급 단체, 아파트 대표자, 각급 학교, 기업 및 일반 회원 500여 명 등 다양한 계층의 주민들이 참여하는 네트워크 결성을 통하여 지역 공동체를 구축하고, 주민 주도의 자발적 사업을 추진한다. 먼저 당시 부산에서 유일하게 멱을 감을 수 있을 정도로 보전이 잘되어 있던 대천천을 보호하기 위하여 지역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대천천 정화 활동을 2004년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시행하고 있으며, 대천천 환경 탐사단, 대천천 학생 환경 지킴이단을 구성하여 대천천의 상태를 상시적으로 점검하고 보호하는 활동을 벌여왔다. 지역 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찾아가는 대천천 작은 음악회’, ‘대천천 가족 마라톤 대회’, ‘대천천 사생 대회’, ‘대천천 문화·환경 축제’ 등의 행사를 기획, 개최하였다.

또한 대천천네트워크는 지역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서도 적극적인 활동을 벌여 왔다. 지역 주민의 적극적인 협조와 참여 속에서 화명 2동 지역 고등학교 건립 유치, 금정산 KTX 사갱 터널 공사 반대 운동 등을 주도하였고, 그 결실로 2008년 금명여자고등학교가 개교했고, 2010년에는 대천천 환경 문화 센터가 건립되었다. 대천천 환경 문화 센터 내에는 ‘맨발동무도서관’이 있는데, 부산 지역 작은 도서관의 모범 사례가 될 만큼 운영이 잘 되고 있다.

[현황]

대천천네트워크는 공동 대표 [6명]와 운영 위원회[14명], 감사[2명], 사무처, 총무국, 홍보국, 정책 기획국, 생태 환경국, 사회 복지국, 경제 공동체 사업단으로 조직이 구성되어 있으며 2013년 현재 일반 회원은 500여 명이다.

[의의와 평가]

대천천네트워크대천천이라는 지역 주민의 공통 요소를 바탕으로 살기 좋고 아름다운 마을을 만들기 위해 주민의 자발적 참여로 구성·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정서와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과 연계함으로써 지속적 발전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주민의 참여·자치·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자연과 인간, 어른과 아이가 함께 하는 자연 환경을 조성·보존하며, 민·관 파트너십의 성공적 모델 제시로 타 주민 자치 단체의 모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