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978
한자 新社會運動
영어의미역 New Social Movement
이칭/별칭 시민 사회 운동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동일

[정의]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환경, 여성, 반핵 평화, 인권 등과 관련된 사회 변화 운동.

[개설]

마르크스주의를 바탕으로 한 노동자 운동이 중심이 된 구사회 운동과 달리 환경, 여성, 인권, 제3 세계 문제, 청소년, 교육, 인구 폭발, 정보 사회의 문제 등을 주제로 이루어지는 사회 운동이다. 신사회 운동은 20세기 중반 이후 특히 1968년 프랑스와 독일의 ‘68 학생 운동’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20세기 새로운 변화에 따라 사회 운동의 주류는 신사회 운동으로 변화되었다.

부산광역시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1987년부터 신사회 운동으로의 변화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87년 직선제 대통령 선거를 계기로 주민들의 참여가 확대되었다. 신사회 운동은 한 사회의 개방성, 다양성, 민주성이 확대되었을 때 출현하게 된다. 부산 지역의 경우는 ‘낙동강 위천 공단 저지 범시민 운동’, 삼성자동차, 가덕도 신공항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대해서는 보수와 진보가 함께 연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른 지역의 사회 운동에서 보여지는 보수와 진보 간에 첨예한 갈등과 달리 지역 현안과 관련된 문제에서는 협력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차별화되고 있다.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신사회 운동]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부산경실련]은 1989년 9월 30일 부산대학교에서 10여 명이 모여 간담회를 시작하면서 태동되었다. 1990년 2월 9일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발기인 대회를 개최하였다. 다음 해인 1991년 3월에는 기초 지방 의회 선거와 관련 공명선거 캠페인을 진행하게 되었다. 1991년 5월 3일 마침내 부산일보사 강당에서 100여 명이 참석해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정식으로 출범하였다.

1992년에 들어와서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3월 총선 기간 동안 선거 부정 고발 센터를 개설하는 한편 공선협 캠페인에 참여하였다. 다른 사회단체와 연계해서 공명선거 캠페인을 전개하였다. 한편 금융 실명제와 지역 경제에 관한 세미나 개최, 지역 경제 발전 세미나, 경제 개혁 운동을 펼침으로서 지역 경제에 대한 교육과 실천 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환경 분야에서는 쓰레기 종량제, 샛강 살리기, 낙동강 문제 등에 참여하여 환경 운동도 병행하였다.

1990년대에 이어 2000년대에는 환경 문제에 대한 세미나와 활동, 지역 경제 활성화, 정책 연구를 진행하여 이전의 활동을 이어갔다. 어린이 경제 교실을 여는 등 교육 프로그램에도 많은 노력을 들였다. 또한 부산광역시 예산에 대한 의견서를 제출하는 등 지역 경제 현안에 대한 운동을 전개했다. 2011년에는 사회적 관심이 되었던 저축은행 사태를 위한 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그 외 중소상인살리기협회, 민주당, 민노당과 함께 ‘대규모 점포 개설 규제를 위한 조례 제정’을 촉구하도록 했다. 서울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사회적 영향력을 높인 데 비해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주체들의 역량의 한계 때문에 부진한 상태였다.

이와 같이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① 납세자 권리 찾기를 통한 과세 불평등 개혁 운동, ② 지속적 예산 감시로 자치 단체와 중앙 정부의 예산 낭비 감시 운동, ③ 재벌 개혁과 지방 분권으로 지방 경제 살리기 운동, ④ 도시 개혁과 공동체 주거 문화 형성을 통해 아파트 공동체, 저소측층 자활과 생활 안정 운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위원회로는 지역경제위원회, 납세자운동본부, 주거문화센터, 공공개혁위원회, 교육홍보위원회, 사회적 기업 육성 네트워크로 조직되어 있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의 신사회 운동]

부산 지역 환경 운동의 시작은 1984년 10월 김재규, 노무현(盧武鉉), 김광일(金光一), 문재인(文在寅), 박광선, 손덕만 등 200여 명의 부산 재야인사들이 ‘한국공해문제연구소 부산지부’를 창립하면서부터이다. 한국공해문제연구소 부산지부는 낙동강 하구둑 건설 반대 운동을 주도하는 한편, 각종 공해 피해 보상 운동의 지원, 환경 관련 초청 강연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한국공해문제연구소 부산지부 참여자들이 부산 지역 재야 운동의 중심적인 역할에 있었기 때문에 민주화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1987년 6월 항쟁으로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독자적인 활동 영역을 갖춘 단체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후 한국공해문제연구소 부산지부는 ‘공해추방시민운동협의회[공추협]’로 확대 개편되었다. 이후 금정산 골프장 반대 운동, 김해 주촌 골프장 반대 운동, 삼랑진 산업 폐기물 매립장 반대 운동, 반송 산업 폐기물 매립장 반대 운동, 용호동 연탄 단지 반대 운동, 고리 지역 주민 운동 등을 지원하였다.

그리고 시민 환경 교육, 여성을 위한 환경 강좌, 시민 환경 학교 등을 수시로 개최했으며, 다른 시민 단체와도 다양한 연대 사업을 전개해 왔다. 그 후 지역 차원에서 독자적으로 활동하던 공해추방시민운동협의회도 환경운동연합으로 결집됨으로써 비로소 훨씬 조직적이고 큰 힘으로 환경 문제에 대한 해결 주체의 대안을 제시하는 운동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의 신사회 운동]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부산참여연대]는 삶의 질을 향상하고 생활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자율적이고 다양한 시민운동을 실천함으로써 다원적 참여 민주주의와 자치 공동체의 형성에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는 1991년 5월 28일 ‘참여와 자치를 위한 부산 지역 시민연대회의[시민연대회의]’로 출범하게 된다. 그해 6월에는 광역 지방 의회 기간 동안 ‘참다운 의원 뽑기 위한 민주 시민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7월에는 「올바른 의원을 뽑기 위한 민주 시민운동 활동 보고서」와 「제1대 부산시 의회 의원 공약 편람」을 펴냈다.

1990년대는 먼저 정치적 참여 운동이 두드러진다. 총선, 지방 자치 선거, 14대 대선 등 각종 선거에서 시민운동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부산공선협]을 1992년 결성하게 된다. 한편 사회적 참여로서 낙동강 오염 사태에 대한 대책 및 환경 운동, 담배 자판기 추방 시민운동, 방송파업대책협의회 등을 전개했다. 또한 아파트 공동체 시민 학교를 개최하여 도시민의 참여와 공동체성 확대를 꾀하기도 했다. ‘시민 감사 청구 운동’, 지역주의 극복과 시민운동의 연계를 위한 포럼을 개최하기도 했다.

2000년대 정치 참여로서 100만인 유권자 발대식, 시장 구청장 후보 초청 토론회, 지방 분권 운동 등을 전개했다. 도시 공동체 운동도 이어져서 임대 아파트 시민 강좌를 시작하는 한편 다대포 몰운대 아파트 기울임 사태 공동 대책 활동을 하기도 했다. 또한 2006년에는 사회적 화제가 되었던 미국산 소고기 전면수입반대 대책회의,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 규탄 대회, 부산시청자주권협의회 창립[2004], 작은 권리 찾기 운동본부 개설 등 다양한 시민 참여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신사회 운동의 한계와 특징]

부산의 신사회 운동은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부산환경운동연합,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부산의 특성상 지역 내 재야 세력의 강세로 인해 수도권만큼의 비중을 차지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부산 지역만의 문제를 중심으로 실천과 교육 그리고 일정한 성과를 이루어 냈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김석준, 『부산 지역 현실과 지역 운동』(부산대학교 출판부, 1999)
  • 부산경실련(http://www.we21.or.kr)
  •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http://ngo.busan.kr)
  • 인터뷰(부산시민센터 센터장 김해몽)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