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965
한자 社會運動
영어의미역 Social Movement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동일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사회 변혁과 정치 개혁을 위하여 벌이는 운동.

[개설]

부산의 사회 운동은 일제 강점기의 항일 운동을 시작으로 해방 공간의 반탁 운동을 비롯한 정치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는 한국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민주화 운동이 사회적으로 확산되던 시기였다. 특히 4·19 혁명과 부마 항쟁은 한국의 민주주의 성지로서 부산을 자리매김하게 한 사건들이었다.

[일제 강점기]

부산은 개항 이래 식민지 침략의 발판이었다. 그래서 일제의 통제와 탄압을 직접적으로 겪었던 지역이다. 그러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강력한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다. 3·1 운동 이전부터 백산상회 활동 등 조직적 항일 운동이 일어났다. 1920년대 부산 부두 노동자 투쟁, 부산 인쇄 직공 총파업, 조선방직 총파업, 1930년대 적색 노동조합 건설 운동 등은 부산의 저항 의식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8·15 광복기]

광복 직후 부산은 인구가 30여만 명에서 80여만 명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식량, 주택, 일거리의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부두나 역전 광장 등에 도시 빈민이 집중되었고, 부산은 구조적으로 열악한 도시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아래 1945년에서 1946년은 반탁 운동이 활발하게 이루진 시기였고, 정당과 사회단체가 중심이 되어 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1946년 9월에는 생존권을 위한 부산 철도 노동자들의 총파업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1950년대 ~1960년대]

6·25 전쟁 동안은 사회 운동이 잠시 정체되는 시기였다. 또한 전쟁이 끝난 후에는 반공 이데올로기가 사회의 지배적 사상으로 자리 잡음으로써 다양한 사회 운동이 전개되기 힘들었다. 1954년 북진 통일 학생 총궐기, 미군 철수 반대 궐기, 북한 봉기 지원 결의 등으로 학생들이 시위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국 3·15 부정 선거 비판과 독재 정권에 대한 항거로 역사적인 4·19 혁명이 역사에 등장하게 되었다.

부산의 4·19 혁명은 1960년 3월 25일 부산동성중학교, 데레사여자고등학교, 경남공업고등학고, 혜화여자고등학교를 필두로 한 시위로 시작되었다. 4월 18일에는 동래고등학교 등을 중심으로 부정 선거 규탄 시위가 대대적으로 일어났다. 마침내 4월 19일에는 동아대학교경남공업고등학교 학생 2만 명이 시위에 참가하여 4·19 혁명이 일어나게 되었다. 4·19 혁명은 이승만 자유당 정권에 대한 저항이며 새로운 사회를 요구하는 국민들의 승리였다. 그러나 5·16 군사정변으로 인하여 4·19 혁명은 미완의 혁명으로 남게 되었다.

[1970년대]

1970년대는 정부의 성장 주의 경제 정책으로 인해 대중들의 저항이 확산되는 시기였다. 국민들은 노동 현장에서의 억압과 독재 정권의 통제에 맞서 항거를 지속적으로 이어 나갔다. 대기업과 자본가 위주의 경제 정책으로 노동자의 삶은 피폐해질 수밖에 없었다. 이 시기에 노동자들의 사회 운동은 당연한 결과였다. 또한 독재 정권에 의한 민주주의 가치 몰락은 민주화 운동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배경이 되었다.

마침내 1979년 부마 항쟁으로 운동은 절정에 다다르게 되었다. 1979년 5월부터 정국은 혼란에 빠졌고, 신민당 전당 대회, 김영삼 총재의 의원직 박탈, 신민당 의원 사퇴 등 일련의 정치적 과정은 부산 및 마산 출신 국회 의원과 민심을 자극하는 계기가 되었다. 1979년 10월 15일 부산대학교에서 「민주 선언문」이 배포되었고, 1979년 10월 16일 부산대학교 5,000여 명의 학생들의 ‘유신 철폐’, ‘독재 정권 퇴진’, ‘민주 회복’, ‘김영삼 총재 제명 규탄’, ‘학원 탄압 철폐’ 구호 아래 부산 전역은 시위 현장으로 변해 갔다. 특히 일반 시민들의 참여와 지지는 큰 힘이 되었다. 10월 17일까지 파출소, 경찰서, 도청, 세무서, 방송국이 파괴되었고 18일과 19일에는 마산, 창원 지역까지 시위가 확산되었다.

그러나 정부는 10월 18일 0시 부산 지역에 비상 명령을 선포하여 1,058명을 연행, 66명을 군사 재판에 회부하였고, 10월 20일 정오 마산 창원 지역마저 위수령을 발동하여 505명을 연행, 59명을 군사 재판에 회부하였다. 부마 항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은 전국적인 시위와 더불어 유신 시대를 종식시키는 핵심적 운동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전두환 정권이 12·12 군사 반란을 통해 정권을 잡은 뒤 민주화에 대한 열망은 요원하기만 하였다. 1982년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지지 및 독재 정권과 미국에 대한 항의와 항거를 보여 준 사건이었다.

[1980년대]

부산 전역에서 직선제 개헌을 둘러싼 1986년 6월 항쟁은 부산이 민주화의 성지로서 또 한 번 이름을 떨치는 계기가 되었다. 부산의 중구 남포동, 중앙동 일대의 시위대는 또 다시 민주화 운동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마침내 정권은 직선제 개헌을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6·29 선언 이후 민주화는 점차 노동 현장으로 확산되었다. 부산 지역 노동 쟁의 발생 건수는 6·29 선언 이후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7월 23일 부산 태광산업의 노동 쟁의를 시작으로 전국 노동자들의 쟁의를 주도하였다. 1980년대 후반 부산에서는 ‘전, 이 구속 투쟁’을 통해 당시의 정권에 대한 불신을 표출하였다.

[1990년대 ~현재]

1990년 5월 9일 ‘민자당 해체 노태우 퇴진 부산 시민대회’가 개최되었고 1991년에는 수서 비리, 강경대 치사 사건, 박창수 한진중공업 노조 위원장 옥중 살해 의혹과 관련하여 노태우 퇴진 운동이 계속되었다. 1992년 민자당 해체, 1994년에는 ‘영남노동연구소’와 ‘일하는 사람을 위한 노동자 연대’가 만들어져 노동 운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지원을 조직적으로 전개하였다. 이후 농산물 수입 개방 반대, 1995년 ‘부산·경남지역 총학생회연합[부경총련]’ 출범과 더불어 통일 운동이 전개되었다. 1995년 11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출범을 계기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산지역본부가 운동의 중심지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후 부산은 경제적 위기로 인한 지역 경제의 침체, 도시 인구 축소 등의 위기를 겪으면서 다소 사회 운동이 약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사회적 변화와 다양성의 사회로의 변화가 신사회 운동으로 이어지면서 ‘민주화의 성지’ 부산의 자부심은 계속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