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813 |
---|---|
한자 | 釜山埠頭勞動者鬪爭 |
영어의미역 | General Struggle of Busan Wharf Labor |
분야 | 역사/근현대,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광욱 |
[정의]
1960년 4·19 혁명 이후 부산부두노동조합에서 전개된 민주화 운동.
[역사적 배경]
1960년 4·19 혁명으로 자유당 정권이 몰락하자 사회 각 분야에 걸쳐 자주화·민주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져갔다. 노동계 역시 기존 정권의 도구로 전락한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대한노총]의 해체와 새로운 노동 단체의 수립이 이슈로 등장했으며, 그에 앞서 기성 노동조합 간부들에 대한 인적 청산이 요구되었다.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의 위원장인 김기옥의 세력 기반이었던 부산부두노조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이 가시화되었다.
[경과]
1960년 4월 24일 김기옥을 비롯한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 간부들은 성명서를 내고 모든 정당과 인연을 끊고 노동조합 본연의 자세로 돌아간다고 표명하였다. 이는 기존의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그러나 같은 날 부산부두노조의 노동자들은 부산부두노조의 본부인 부산시 중구 중앙동의 노동 회관을 점거하고, 김기옥 타도 및 어용 간부의 축출을 요구하는 시위를 시작하였다. 조합원들의 요구가 매우 강력하자 부산부두노조의 간부진은 4월 26일 전원이 사퇴했다. 이에 부산부두노조의 노동자들은 노조 운영을 정상화하기 위한 부산부두노조수습위원회를 구성하였다. 부산부두노조수습위원회는 일차적으로 자유당과 유착한 김기옥이 왜곡시킨 노동조합의 비민주적 각종 제도들을 다시 민주적인 제도로 개편하는 일에 주력하였다. 특히 1960년 6월 2일에 제정되는 선거 요강을 통해 작업반장 선거제를 도입함으로써 조직 민주화의 전기를 마련하였다.
1960년 5월 18일 부산부두노조는 수습 대의원 대회를 개최하여 과도적인 수습 위원회 체제를 바꾸어 노조의 운영을 정상화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의 김기옥 중심인 1인 지배 체제를 집단 지도 체제로 바꾸어 모든 계파를 망라하는 연합 의장단을 구성하였다. 그리하여 위원장에는 전병민, 부위원장에는 송도환, 김용후, 서동구, 전영곤, 박인근이 선출되었다.
그렇지만 김기옥 계열에 속해 있던 일부 세력들은 다시 부산부두노동조합정화위원회를 구성하여 기득권 수호와 새로운 지도 체제에 대항하였다. 김기옥 계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대다수의 부두 노동자들은 법정 투쟁을 포함한 강력한 저항을 전개하였고, 이러한 저항에 부딪힌 김기옥 계열은 결국 물러나게 되었다. 12월 30일에 소집이 된 대의원 대회에서 전병민 집행부는 재신임을 얻었고, 부산부두노동조합정화위원회는 소멸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부산부두노조의 조직 개편을 위한 투쟁은 일단락되었다.
[결과]
민주적인 새 집행부가 김기옥 계열의 재집권을 저지하고 제도적 개혁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박정희(朴正熙)의 군사 쿠데타에 의해 모든 노동조합 활동은 금지되었다.
[의의와 평가]
부산 부두 노동자 투쟁은 단순히 김기옥 세력을 축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잘못된 노동 관행을 개혁하는 제도의 변화를 통해 노동자의 실질적인 승리를 얻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