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 한의사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942
한자 釜山廣域市韓醫師會
영어공식명칭 Busan Oriental Medical Association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고관로 53[수정동 358-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양이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회단체
전화 051-466-5966~5967
홈페이지 부산광역시 한의사회(http://busankom.kr/)
설립 시기/일시 1952년 9월 25일연표보기 - 부산시 한의사회 설립
이전 시기/일시 1957년 1월 -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70년 9월 25일 -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에서 동구 수정동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63년 1월 1일연표보기 - 부산시 한의사회에서 부산직할시 한의사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연표보기 - 부산직할시 한의사회에서 부산광역시 한의사회로 개칭
최초 설립지 부산시한의사회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22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직할시 한의사회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 358-4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한의사회 - 부산광역시 동구 고관로 53[수정동 358-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한의사 권익 보호 단체.

[설립 목적]

부산광역시 한의사회는 민족 한의학에 대한 자긍심으로 부산 시민의 건강을 위하여 한약재 안정성을 최우선적으로 삼아 소외된 시민의 건강을 감호하고, 사회에 이익을 환원하며, 부산 지역에서 활동하는 한의사들의 관계를 유지하며, 질 좋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부산 한의사회는 1951년 1월 15일 임시 수도 부산에서 의정 활동 당시 「국민 의료 법률」 안에서 한의사 제도가 제외된 것이 밝혀져 한의사 제도 입법을 위하여 한의계 중진 인사와 한국의학회 회원들이 모임을 결성한 것이 근간이 되어 형성되었다. 1952년 9월 25일 한의사 제도의 법적 근거인 「국민 의료법」이 공포될 당시 부산시 한의사회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1957년 1월 부산시 동구 초량동 22번지의 건물을 매입하여 최초의 한의사회 회관을 조성하였다. 1963년 1월 1일 부산직할시로 승격되자 부산직할시 한의사회로 개칭되었다. 1969년 12월 구 회관을 매도하고 현재 위치에 대지를 매입하여 회관을 건립하여, 1970년 9월 25일 신축 회관으로 이전하였다.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가 되면서 부산광역시 한의사회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광역시 한의사회는 6개 항으로 주요 사업이 구성되어 있다. 첫째, 한약재의 안전한 관리와 보급을 위해 학술 및 한의학 연구원 등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으며, 둘째, 한의학의 보급과 부산 시민들에 대한 지원 사업으로 매년 부산YMCA와 협력하여 새터민 의료 봉사 활동과 부산 16개 구·군의 보건소에서 의료 봉사 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셋째, 한의사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의대학교 분회를 통해 한의사 양성에 힘쓰고 있다. 넷째, 의도의 양양 및 의권 옹호를 위하여 의료 사고 및 분쟁에 대한 전담 기구를 운영 중에 있다. 다섯째, 인류의 건강에 이바지하고자 2011년 캄보디아 등 저개발 국가에 대한 해외 의료 봉사에도 힘쓰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부산광역시 한의사회는 회장 1명과 4명의 부회장으로 구성된 회장단이 있고, 15개 구·군 분회와 동의대학교 분회를 포함한 16개 분회장과 총무, 학술, 보험, 약무, 법제, 정보 통신, 홍보·정책·기획, 대외 친선, 여한의사 등의 직능 이사가 협회의 이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문, 윤리, 감사의 기관들이 의사 결정과 감사의 기능을 보충하고 있다. 그리고 중앙회는 직능 이사가 장이 되어 있는 팀별로 협회의 전체적인 업무를 진행해 오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