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6518 |
---|---|
한자 | 德川交叉路 |
영어의미역 | Deokcheon Junction |
이칭/별칭 | 덕천 로터리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은숙 |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교차로.
[명칭 유래]
덕천동에 있는 교차로라서 붙은 이름이다. 덕천 로터리라고 불리기도 한다.
[제원]
덕천 교차로는 6차선 도로 4개가 교차하는 4지형의 교차로이다. 각 연결 도로는 우회전이 가능하도록 곁길이 조성되어 있다.
[건립 경위]
덕천 교차로는 동래와 낙동강 서쪽의 서부산 지역, 서면과 화명동을 연결하는 소도로의 결절지로서 건립되었다.
[변천]
1932년 구포 다리가 건설되어 서부산 지역과 구포를 연결하면서 덕천 교차로의 기능이 강화되었으며, 1973년에 제1 만덕 터널이 개통되면서 동래와의 연결성이 커졌다. 1990년대 모라동에 주거지가 건립되고 2000년대 화명 신시가지가 건립되면서 옛 도로가 확장 포장되어 동서간의 연결성이 커졌으며, 교차로의 기능이 더욱 강화되고 서부산의 중심지로 성장하게 되었다.
[현황]
덕천 교차로는 금곡 대로와 백양 대로, 낙동 대로, 만덕 대로가 교차하는 결절지로, 낙동강 서쪽과 부산을 연결하며, 동래에서 구포로 연결되는 주 간선 도로가 통과한다. 교통량은 오전 08:00~09:00에 5.40%, 오후 17:00~18:00에는 6.30%의 집중률을 보인다. 전체 차량 중 승용차의 구성비는 49.01%이며, 택시 구성비가 18.86%이다. 교차로 방향별 교통량은 구포역 방면이 32.42%, 만덕 방면이 32.28%, 구남역 방면이 20.06%, 화명동 방면이 15.24%이다.
덕천 교차로 지하로는 부산 도시 철도 2호선과 3호선이 통과하며, 덕천역은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다. 이에 덕천 교차로는 지하의 도시 철도 환승뿐 아니라, 도시 철도와 도로 교통의 결절지로서 서부산과 김해 등으로의 버스 환승이 가능한 지역이기도 하다. 덕천 교차로에는 구포 시장이 자리하고 있으며, 인근에는 술집 및 나이트클럽 등 유흥가가 자리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사통팔달의 교통 요지라는 이점으로 병원과 대형 상가 등이 늘어나 부산의 부도심지로 성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