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6270 |
---|---|
한자 | 小花嬰兒再活院 |
영어의미역 | Sohwa Infants Rehabilitation Center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무민사로 19[감만동 491-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백정원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 있는 지적 장애 영유아 생활 시설.
[건립 경위]
다양한 장애를 가진 영아와 유아에게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사랑을 실천하며 교육, 생활 훈련, 의료, 심신 재활 영역 등의 재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인간 존엄성의 회복과 사회 통합 및 장애인의 복지 증진에 기여하고자 1946년 2월 10일 현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소화 보육원을 개소하였다.
[변천]
1963년 6월 30일 사회단체로 등록하였으며, 9월 10일 현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서 수영구 남천동으로 이전하였다. 1972년 12월 31일 육아원에서 영아원으로 사업을 변경하였고 1979년 8월 6일 아동 복리 시설[영아원 장애 영아 시설]로 목적 사업을 변경하였다. 1981년 1월 19일 소화 보육원에서 소화 영아 재활원(小花嬰兒再活院)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1982년 8월 16일 심신 장애 복지 시설로 허가를 받았다. 1988년 11월 18일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서 남구 감만동 491-1번지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7년 11월 13일과 2010년 11월 10일 전국 장애인 생활 시설 평가에서 우수 시설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구성]
소화 영아 재활원은 대지 면적 3,058㎡, 연면적 3,388.11㎡인 지하 1층, 지상 4층 건물이다. 지하 1층에 기계실과 소방 시설이 있고 1층에 조리실, 식당, 강당, 세탁실 등이 있다. 2층에 사무실, 자원봉사자실, 치료실 등이 있으며 3층에 물리 치료실, 개별 학습실, 언어 치료실, 자료실 등이 있으며 2·3층에 생활실이 각층마다 4개씩 있다. 소화 영아 재활원 내의 마당에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현황]
소화 영아 재활원은 대구성바오르수녀회유지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2013년 현재 최복남 원장을 비롯하여 사무국장 1명, 사회 재활 교사 1명, 생활 재활 교사 25명, 물리 치료사 1명, 작업 치료사 1명, 간호사 3명, 의사 1명, 영양사 1명, 취사부 2명, 세탁부 1명으로 총 38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입소 정원은 50명이다.
입소 대상은 6세 미만 영유아 장애 아동에 한하며, 입소하려면 무의탁자이거나 기초 생활 수급권자이어야 한다. 입소 절차는 먼저 전화 상담 및 방문 상담을 하고 입소 위원회에서 회의를 거쳐 생활하는 지역 구청의 주민복지과에 입소를 의뢰하여 입소 여부를 확정한다.
일상생활 훈련을 통해 신변 자립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활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동들의 조기 교육의 일환으로 부산혜남학교 유치원 특수 학급을 운영한다. 사회 적응 훈련을 위해 가정 위탁, 미술 치료 등을 하고 있고 물리 치료, 감각 통합 치료 등 의료 재활 프로그램도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