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선박 수리 조선 단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581
한자 船舶修理造船團地
영어의미역 Ship-repair and Shipbuilding Complex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재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0월 - 건립추진협의체 구성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8년 8~12월 - 신항만 건설 기본 계획 변경 검토 용역 수행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9년 4월 - 신항만 건설 기본 계획에 선박 수리 조선 단지 조성 반영
예정지 선박 수리 조선 단지 - 부산광역시 강서구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부산 신항에 건립 예정인 대형 선박을 수리하는 조선 단지 조성 사업.

[사업 진행 및 필요성]

2만 톤급 이상의 대형 선박의 수리를 위해 조성되는 선박 수리 조선 단지는 2007년 7~9월 제2차, 제3차 부산항경쟁력촉진협의회에서 단지 조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2007년 10월 건립추진협의체[부산광역시, 부산지방해양항만청, 부산항만공사, 부산발전연구원, 부산상공회의소]가 구성되었다. 2008년 8~12월 당시 국토해양부에 의해 신항만 건설 기본 계획 변경 검토 용역이 수행되었다. 2009년 4월 신항만 건설 기본 계획에 선박 수리 조선 단지 조성이 반영되었다. 2011년 이후 국토해양부에서 민자 사업 제안서를 접수하여 사업 타당성 심사가 진행되었으며, 2012년 이후 우선 협상 대상자 선정 및 사업비 등을 심사하였다.

부산 신항 선박 수리 조선 단지가 입지하게 된 데에는 부산항이 전 세계 간선 항로 상에 위치해 수리 조선 산업의 발전에 유리한 지정학적 입지 조건을 갖춘 데 힘입은 바 크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에서 중형 선박 수리가 가능한 업체는 4곳에 불과하고[2013년 기준], 선박의 초대형화 추세 속에서도 아직 길이 300m 안팎의 대형 선박을 수리할 시설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와 관련 기업의 선박 수리 산업 지원이 필요하며, 국내 인력 양성 제도의 마련도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영세 수리 조선 업체가 어려움을 겪는 기술 개발을 위한 산학연(産學硏) 공동 기술 개발 제도를 도입하고, 선박 수리 관련 산업들의 클러스터화 등으로 전문 수리 단지를 조성할 필요가 높다.

또한 고 부가 가치 선박인 특수선, 액화 천연 가스[LNG]선 등의 첨단 수리 기술 확보를 위해 전문 인력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고 부가 가치 선박 수리 전문가 육성책 마련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수리 조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선박 수리업 관련 법과 제도의 개선도 시급하다. 특히 가격[비용]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외국인 노동자 활용 방안을 검토해야 하며, 선박 수리를 위하여 입·출항할 때 항만 시설 사용료를 감면하는 등 인센티브 제도 시행도 필요하다.

[내용]

선박 수리 조선은 선주의 공사 의뢰에 의해 조선소 등 제한된 장소에서 건조, 기자재, 전기, 의장 등 각종 특수 부문의 기술 인력이 동시에 참여하여 공사를 진행시키는 과정이다. 선박 수리 수요는 선령, 운임, 위치 등에 의해 결정되며 선령이 길수록, 선박 운임이 높을수록, 위치가 양호할수록 수요가 증가하는데 특히 선박 검사 시 수리 수요가 대부분이다.

부산 신항 선박 수리 조선 단지는 부산항을 종합 물류 항만으로 육성하고 고 부가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핵심 사업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항의 선박 수리 조선 단지는 2기의 독(Dock)[선박의 건조 및 수리를 위해 세워진 시설로 선거(船渠)라고도 한다]과 길이 1.2㎞ 규모의 선석(船席)[선박을 계선(繫船)시키는 시설을 갖춘 접안 장소를 말한다]이 조성될 예정이다.

부산항에는 아직 대형 선박 수리를 위한 시설이 없다. 동북아시아 물류 허브를 지향하는 세계 5대 컨테이너항이지만 복합 항만으로서의 자격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부산광역시부산 신항 선박 수리 조선 단지 조성에 각별한 신경을 기울이고 있는데, 수리 조선업이 부산 경제에 막대한 파급을 미칠 수 있는 고 부가 가치 업종이기 때문이다.

부산광역시는 2007년부터 선박수리조선단지 건립추진협의체를 구성하여 논의를 발전시켜 왔다. 그 결실로 2009년 국가 기본 계획에 선박 수리 조선 단지 건립 계획이 반영되는 성과를 가져왔다. 모두 3400억 원의 사업비가 예상되는 선박 수리 조선 단지는 민간 투자 사업 방식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2014년 민간 투자 사업자를 선정한 다음, 2015년부터 선박 수리 조선 단지 조성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본격적인 운영 시점은 2018년으로 잡혀 있다.

부산 신항 남측 컨테이너 부두 배후 부지 남쪽에 위치할 예정이었으나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 서쪽 백옥포 일대로 잠정 확정되었다. 사업 규모는 독 2기, 안벽(岸壁)[화물의 하역 및 승객의 승하선을 위해 만들어진 구조물] 3선석, 상부 시설 1식으로 예정 부지 65만 4000㎡[육상 부지 34만 8000㎡, 수면부 30만 6000㎡]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