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318
한자 21世紀未來釜山
영어의미역 Busan, the Future of the 21st Century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기관/단체 부산 미래 도시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연산동] 부산광역시청 1층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가 제시한 21세기 부산의 도시 미래상.

[도시 계획에 따른 미래상]

21세기 미래 부산은 부산광역시 건축주택담당관실에서 21세기 세계 첨단 해양 도시 건설을 목표로 설정하고 2011년을 목표 연도로 하는 ‘제3차 부산 도시 기본 계획’을 책정하여 환태평양·동북아 관문 도시, 수도권에 대응하는 거점 도시, 동남 경제권의 중추 도시, 국제 교류 거점 해양 도시 건설을 추진하는 부산의 미래 도시 계획이다. 부산의 미래 도시 구조는 중구 지역의 원도심[기존 도심], 서면, 가덕·녹산, 하단, 사상, 구포, 동래, 해운대, 구서, 기장 등 총 10개의 거점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래 부산 10개 거점]

10개의 거점은 2도심 6부도심 2지구 도심 구조로 계획되어 있다. 2개의 도심은 중구의 원도심과 서면 도심으로서 원도심은 국제 무역, 업무, 유통 기능으로 특화하고 서면 도심은 행정, 금융, 상업, 문화 기능으로 특화한다. 6개의 부도심은 가덕·녹산, 하단, 사상, 구포, 동래, 해운대 부도심으로서 가덕·녹산 부도심은 첨단 산업, 연구, 물류 기능으로, 하단 부도심은 휴양, 교육 기능으로, 사상 부도심은 공업, 광역 서비스 기능으로, 구포 부도심은 유통, 광역 서비스 기능으로, 동래 부도심은 관광, 위락 기능으로, 해운대 부도심은 정보, 업무, 관광 기능으로 각각 특화한다.

2개의 지구 도심은 구서 지구 및 기장 지구 도심으로서 구서 지구 도심은 주거, 교육 기능으로, 기장 지구 도심은 해안 관광, 전원 휴양 기능으로 각각 특화할 계획이다. 이러한 거점들의 성장이 도시 구조의 다핵화, 개방화와 도시 기능의 다양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시 발전 전략에 따른 미래상]

부산광역시는 부산의 미래 도시 발전 전략으로서 부산을 도심권, 동부산권, 서부산권의 3개 권역으로 나누어, 권역별로 친환경적이고 경쟁력 있는 도시로 만든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심권은 중구, 영도구, 서구, 동구, 부산진구, 남구, 연제구, 동래구, 금정구 등의 지역으로서 금융 단지 조성, 항만 물류 기능 확충, 감천항 ‘국제 수산 물류·무역 기지’ 조성 등을 통해 무역·금융 거점 지역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동부산권은 수영구, 해운대구, 기장군 등의 지역으로서 센텀 시티 개발, 동부산 관광 단지 조성, 남해안 관광 벨트 조성 등을 통해 정보·관광 거점 지역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서부산권은 사하구, 사상구, 북구, 강서구 등의 지역으로서 명지·지사·신항만 지역을 중심으로 신항 배후지[물류, 항만 지원 시설]와 서부산 유통 단지 조성, 신호 일반 산업 단지[주거 및 지원 시설]·송정 지구·명지 지구·미음 지구·부산 과학 일반 산업 단지[첨단 산업, 연구 개발] 조성 등을 통해 생산·물류 거점 지역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부산의 미래상 홍보 시설]

부산광역시는 부산의 미래상에 대한 시민 홍보를 위해 시청 청사 1층에 부산미래도시관[690㎡], 벡스코(BEXCO) 1층에 부산 홍보관[182㎡], 도시 철도 서면역[역사 중앙에서 롯데 백화점 방향, 35㎡]에 간이 홍보관을 각각 조성하였다. 3곳의 홍보 시설은 모두 무료이며,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개방된다. 시청의 부산미래도시관과 서면역의 간이 홍보관은 토·일요일과 공휴일에 휴관하고, 벡스코의 부산 홍보관은 연중무휴이다.

[부산미래도시관]

시청의 부산미래도시관은 부산의 미래상에 대한 대표적인 홍보 시설로 부산의 과거, 부산의 현재, 부산의 미래, 4D 영상관, 메모리 홀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부산의 과거 구역에는 선사 시대, 가야·삼국·통일 신라 시대, 고려 시대·조선 시대, 개항기 이후의 부산에 대한 시청각 자료가 구비되어 있고, 부산의 현재 구역에서는 현재 부산광역시의 시정 현황과 시정 목표를 확인할 수 있다.

부산의 미래 구역에서는 유비쿼터스 도시를 비롯한 부산의 미래상을 도시 모형, 아이오 북, 무안경 3D TV, 그림자 액션 영상 장치 등을 이용해 확인할 수 있고, 부산광역시가 추진 중인 10대 메가 프로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4D 영상관에서는 10대 메가 프로젝트 관련 입체 영상을 관람할 수 있으며, 메모리 홀에서는 전자 방명록을 작성할 수 있고, 포토 존에서 기념 촬영을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 부산미래도시관(http://hongbo.busa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