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284
한자 東醫寶鑑
영어의미역 Dongui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문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희곡
작가 이정허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6월 - 제12회 부산 연극제 최우수 작품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8월 - 제12회 전국 연극제 우수 작품상 수상

[정의]

부산에서 활동하는 연기자 이정허가 의술을 소재로 쓴 창작 희곡.

[개설]

「동의보감」은 부산 지역 극단인 하늘 개인 날의 연기자 이정허가 각색한 창작 희곡 작품이다. 손기룡이 연출하여, 1992년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제12회 부산 연극제 경연 부문에 참가하여 부산 시민 회관 소극장에서 공연하였고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1992년 8월 대전에서 개최된 제12회 전국 연극제에 참가하여 우수 작품상, 연기상, 무대 미술상을 수상하여 부산 연극의 잠재적 가능성을 널리 알렸다.

[구성]

모두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장면들은 인과 관계에 의한 장면의 연결과 지속보다는 사건과 상황 위주로 장면이 시나리오식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무대 중앙의 유의태의 집을 중심 공간으로, 무대 우측에는 허준(許浚)의 오두막집, 좌측과 무대 중앙은 성대감 댁을 비롯한 여러 장소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내용]

허준의 스승인 유의태에게 초점을 맞추어, 사람의 병을 치유하는 의술보다는 버림받고 소외된 백성들의 병 치료를 위해 제자에게 실험 도구로 자신의 몸을 제공한 유의태의 인본주의적 인술을 그린 작품이다.

[특징]

이은성이 쓴 원작 「소설 동의보감」은 허준을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되고 있지만, 원작을 희곡으로 각색한 이정허는 허준의 스승인 유의태에게 무게 비중과 초점을 두고 있다.

[의의와 평가]

단순하게 사람의 몸과 병을 치유한다는 의술의 개념을 벗어나 인간 사랑의 휴머니즘에 입각한 인술의 실천으로 의술의 나아갈 길을 바로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