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140
한자 九德民俗藝術館
영어의미역 Gudeok Folk Arts Center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공원로 41[서대신동 3가 산2-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재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화 시설
면적 2,607㎡[부지 면적]|792㎡[연면적]
전화 051-242-3100
준공 시기/일시 1991년 6월연표보기 - 준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1991년 6월 6일연표보기 - 개관
최초 설립지 구덕 민속 예술관 -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공원로 41[서대신동 3가 산2-3]지도보기
현 소재지 구덕 민속 예술관 -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공원로 41[서대신동 3가 산2-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시립 예술관.

[건립 경위]

서부산 지역 전통문화의 전당으로, 무형 문화재 전승 보급과 전래, 미풍양속의 계승, 조상의 얼을 심기 위한 민속 예술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산직할시가 구덕 민속 예술관(九德民俗藝術館)을 건립하였다. 부산 농악, 다대포 후리 소리의 전수장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도 겸하고 있다. 부산직할시가 부산 민속 예술관, 수영 고적 민속 예술관에 이어 3번째로 건립한 예술관으로, 1991년 6월 준공·개관하였다. 시설 운영비는 부산직할시가 부담하고, 관리는 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가 맡고 있다.

[구성]

부지 면적은 2,607㎡, 연면적은 792㎡이다. 지하 1층[264㎡]은 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가 전수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570㎡에 달하는 제법 큰 규모의 야외 놀이마당을 가지고 있다. 놀이마당을 둘러싼 계단식 관람석은 1,500명의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다. 예술관에서는 시민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 1회 풍물 무료 강습회를 열고 있으며, 부산해사고등학교, 부산정보디자인고등학교, 동호정보여자고등학교 등 3개 학교를 부산 농악 전수 지정 학교로 운영하고 있다.

[현황]

구덕 민속 예술관은 사실상 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의 전수장을 겸하고 있다. 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는 매년 1회 정기 발표회와 부산 민속 예술 경연 대회를 열어 우리 소리와 전통문화의 맥을 이어가는 역할을 맡고 있다. 부산 농악의 전수 교육은 물론 새로운 민속 문화 발굴 활동도 펼치고 있다. 무형 문화재 보유 종목으로 부산 농악[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6호], 구덕 망께 터다지기 소리[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11호], 부산 고분도리 걸립[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18호]이 있다. 계단식 관람석을 갖춘 야외 놀이마당은 주변 숲이 좋고 물이 맑아 농악 전수장 역할에 더해 시민들이 배드민턴 같은 가벼운 운동을 하거나 오락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자체 홈페이지는 아직 구축하지 않은 상태로 관련 정보는 부산광역시 서구청 홈페이지(www.seogu.busan.kr)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