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992
한자 第-回全國同時地方選擧
영어의미역 4th Nationwde Provincial Election
이칭/별칭 5·31 지방 선거
분야 역사/근현대,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성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선거
관련인물/단체 열린우리당|한나라당|민주당|민주노동당|허남식|오거돈|김석준
발생|시작시기/일시 2006년 5월 31일연표보기 - 실시
종결 시기/일시 2006년 5월 31일 - 종결
발생|시작 장소 부산광역시
종결 장소 부산광역시

[정의]

2006년 5월 31일 부산 지역에서 실시된 지방 선거.

[선거 정국]

열린우리당은 2004년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에 대한 탄핵 역풍에 힘입어 제17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299석 중 152석을 기록하는 승리를 거두었다. 이에 열린우리당은 4대 개혁 입법으로 「국가 보안법」 폐지, 「과거사 진상 규명법」, 「사립 학교법」, 「언론 개혁법」을 추진하였으나, 당내의 개혁 세력과 실용 세력과의 분열, 그리고 한나라당을 중심으로 한 보수 세력의 격렬한 반대에 직면해야 했다. 연이은 재·보궐 선거의 패배 속에서 2005년 7월 28일 노무현 정부는 지역 구도 극복을 위한 선거 제도 개편을 전제로 총리 지명권, 조각권 등을 한나라당이 행사하는 대연정을 한나라당에게 제안하였지만, 이마저도 거부되고, 오히려 진보·개혁 진영 내부의 자중지란만 초래하고 말았다.

이런 상황에서 실시된 제4회 전국 동시 지방 선거에서 열린우리당은 강금실(康錦實) 법무부 장관을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진대제(陳大濟) 정보통신부 장관을 경기도지사 후보로, 김두관(金斗官) 행정자치부 장관을 경상남도지사 후보로, 오영교(吳盈敎) 전 행정자치부 장관을 충청남도지사 후보로 내보내는 등 본격적인 선거전에 나서게 되었다.

[전국 선거 결과]

역대 지방 선거에서 여당의 성적이 대체로 좋지 못하였지만, 제4회 전국 동시 지방 선거에서 집권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거둔 결과는 사상 최악이었다. 광역 단체장 선거에서 16개 선거구 모두 후보를 공천하였지만, 전라북도의 김완주(金完柱) 후보만이 당선되었다. 서울 지역의 25개 구청장 선거에서는 단 한 명의 당선자도 배출하지 못하였다.

반면, 한나라당은 선거 운동 시기였던 2006년 5월 20일 발생한 ‘박근혜(朴槿惠) 대표 피습 사건’ 이후 완전한 승기를 잡았고, 그 결과 호남 지역과 제주도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광역 자치 단체장은 물론, 전국의 230개 기초 자치 단체장 선거에서도 67.4%에 달하는 155명이 당선되었으며, 특히 서울 지역의 25개 구청장 선거에서 모두 승리하는 대승을 거두었다. 이 외에도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의 광역 의회에 배정된 234개 의석 모두를 휩쓸어 영남 지역을 뛰어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한편 열린우리당의 탈당으로 당 존립마저 위태로웠던 민주당은 광주광역시장 선거에서 박광태(朴光泰), 전라남도지사 선거에서 박준영(朴晙瑩) 후보 등을 당선시킨 것을 비롯하여, 호남 지역 기초 단체장의 48.8%를 차지함으로써 오히려 열린우리당을 넘어서는 성과를 거두었다.

[부산의 제4회 전국 동시 지방 선거 결과]

전국적으로 나타난 한나라당의 압승은 부산 지역에서도 명확히 나타났다. 부산의 제4회 전국 동시 지방 선거제3회 지방 선거에서 나타난 이른바 ‘한나라당 독식 구도’가 더욱 강화되어 한나라당에게 역대 부산 지역 지방 선거 사상 최고의 승리를 안겨주었다. 부산광역시장 선거에서 허남식(許南植) 후보가 65.5%의 득표율로 열린우리당의 오거돈(吳巨敦) 후보[24.1%]와 민주노동당의 김석준 후보[10.3%]에게 완승을 거두었고, 기초 단체장 선거에서도 중구 이인준 후보[무소속]를 제외한 나머지 15개 선거구에서 모두 승리하였다. 뿐만 아니라 부산광역시 의회 의원 선거에서도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에 비례 대표 각각 1석씩만을 내주었을 뿐 나머지 모든 의석을 휩쓸었다. 기초 의회 의원 선거에서도 전체 의석의 84.6%를 휩쓰는 대승을 거두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