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생곡 나루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762
한자 生谷-
영어의미역 Saenggok Ferry
이칭/별칭 생활 나루터,일전 나루터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고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114-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배병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나루터
비정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114-11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에 있던 나루터.

[명칭 유래]

생곡 나루터강서구 생곡동 생곡(生谷) 마을범방동 사구(砂丘) 마을[가리새]을 연결하는 나루터였다. 생곡 마을이 나루터의 중심이었기에 생곡 나루터 또는 생활 나루터라고 불렀다. 생활은 생곡의 옛 지명이다. 뱃삯이 1전이라고 하여 일전 나루터라고도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생곡 나루터가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알 수 없으며, 폐지 시기 역시 상세히 알 수 없다. 이웃한 큰 나루터인 강서구 생곡동 장락 마을의 장락포 나루터가 1970년대 후반에 폐지되었으니 비슷한 시기에 폐지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어느 시기 생곡 나루터에 출렁다리가 설치되었다가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출렁다리를 가이사교(加伊沙橋)로 교체·가설하였으나, 2013년 1월부터 2014년 12월 공사 완료를 목표로 다시 철거 작업이 진행 중이다.

[위치 비정/행정 구역상의 구분]

강서구 범방동 사구 마을은 동쪽으로는 조만강(潮滿江), 서쪽으로는 지사천을 끼고 형성된 포구 마을이다. 마을 북쪽 끝으로는 강서구 가락동으로 가는 길목인 조만포(潮滿浦)가 있고, 남쪽 끝으로는 조만강과 지사천이 합류한다. 사구 마을 남단을 따로 ‘가리새’라 일컫는데, 이는 ‘지사천과 조만강이 갈라지는 어귀’라는 뜻이다. 일제 강점기에 이를 한자식 지명으로 바꾸면서 음만 빌려와 ‘가이사(加伊沙)’라고 하였다.

가리새의 서쪽 지사천은 강서구 미음동 세산 마을, 생곡동 생곡 마을·장락 마을과도 경계선이 된다. 그중 생곡 나루터는 지사천을 가로질러 가리새와 생곡 마을을 연결하던 곳으로, 현재의 가이사교 일대에 위치하였다. 생곡 나루터생곡동 생곡 마을장락 마을의 경계로, 그 기준 지점이 되는 구메산[龜山] 아래의 지사천 일대는 과거 모두 갈대밭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