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718 |
---|---|
한자 | 駕洛- |
영어의미역 | Garak IC |
이칭/별칭 | 가락 IC,가락 교차로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유태윤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에 위치한 입체 교차로.
[명칭 유래]
나들목이 과거 낙동강 하류 지역에 거점을 잡고 있었던 가락국이 있던 지역에 만들어졌고, 가락동에 속하여 가락 나들목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제원]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의 냉정 분기점을 기점으로 12.8㎞에 위치한다. 교차로의 형태는 자유형이며 폭 23.4m의 왕복 4차선이다.
[건립 경위]
전라남도와 부산광역시를 잇는 남해 고속 도로는 창원 산업 단지의 조성과 마산항 유입 컨테이너 물량 증가로 심한 교통 체증이 일어났다. 이 과도한 교통량을 분담하고, 영남 서부권 물동량 증가에 대처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가락 나들목이 건립되었다.
[변천]
가락 나들목은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과 함께 1977년 5월에 착공하여, 1981년 4월에 개통되었다.
[현황]
가락 나들목은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의 세 번째 나들목으로, 서부산 요금소와 장유 나들목 사이에 위치한다. 가락 나들목은 동쪽이 부산 방향이고, 서쪽이 창원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부산 방향 진출로와 진입로, 창원 방향 진출로와 진입로 모두 만들어져 있다. 나들목을 연결하는 가락 대로[신항만 배후 도로]는 2011년 12월 30일에 완공되었다.
가락 대로에서 북쪽으로는 김해시청과 초정 나들목으로 연결되며, 남쪽으로는 부산 신항만으로 연결된다. 출퇴근 시간과 주말 저녁에는 부산으로 진입하는 교통량의 증가로 가락 나들목을 이용하는 교통량이 많아 교통 체증이 나타난다. 하지만 가락 대로의 완공으로 출퇴근 교통 체증이 완화되고, 산업 물동량의 원활한 수송에 도움을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