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547
한자 浦-
영어음역 Po[Gae]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정의]

부산광역시 내 해안이나 하안가에 육지 쪽으로 휘어진 지형.

[개설]

바닷가에 육지 쪽으로 활처럼 휘어 들어간 곳을 만(灣)이라고 하고, 강가나 바닷가등 물 가장자리에 휘어서 굽어진 곳은 포(浦)라고 한다. 포는 만보다 소규모로 발달해 있다. 부산 지역은 한반도 동남단에 자리하고 있으며, 동해남해에 접하고 있어 만과 반도의 발달로 해안선이 복잡하다. 또한 수영강낙동강, 동천, 춘천천 등 바다로 흘러드는 강이 많아 해안가 곳곳에 소규모의 만입부가 발달하였으며, 낙동강변을 따라서도 만입부가 발달하였다. 부산의 해안에는 부산만(釜山灣)을 비롯하여 송정만(松亭灣), 수영만(水營灣), 송도만(松島灣), 감천만(甘川灣), 다대만(多大灣) 등 크고 작은 만과 이들 만입부 내부에 소규모 만입 및 포구가 분포한다.

[현황]

해안선의 출입이 심한 부산의 해안에는 다수의 포가 분포하며, 부산의 서쪽을 흐르는 낙동강에도 덕포와 구포, 호포와 같은 포가 위치한다. 해안에는 부산포[부산만 지역], 감만포[남구 감만동 부산항 제8 부두 지역], 백운포(白雲浦), 미포(尾浦), 청사포(靑沙浦), 해운포(海雲浦), 월내포, 하단포(下端浦), 장림포, 조만포 등이 있다. 포구는 일찍부터 소규모의 어촌 마을이나 수운의 중심지로 이용되어 왔다. 현재 작은 포구는 매립으로 인해 부산의 해안선이 단조로워졌으며, 분포나 덕포 등과 같이 명칭만 남고 사라진 곳도 많다.

[이용]

부산의 포는 바닷가에 있는 감만포(戡蠻浦)와 같이 규모가 큰 경우는 부두 시설이 설치되어 항만 용지로 이용되고, 장림포 등과 같이 소규모 만입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소규모 어항 또는 지방 어항 등으로 발달해 있다. 구포나 덕포, 호포 등은 낙동강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었으며, 옛 나루터로 이용되던 구포나 덕포 지역과 중구 남포동 지역의 남포(南浦), 부산진구 전포동 지역의 전포 등은 매립에 의해 시가지나 공장 부지로 변화되어 현재 그 명칭만 남겨진 채 사라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