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525
한자 五峰山
영어의미역 Obongsan Mountain
이칭/별칭 오형제산,다섯뫼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78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반용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높이 약 45m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2년 6월 - 오봉산 개발 행위 제한 대상 지역으로 선정
전구간 오봉산 -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787지도보기
해당 지역 소재지 오봉산 -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78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에 있는 산.

[명칭 유래]

오봉산죽림동·봉림동에 걸쳐 있는 산지의 정상 봉우리가 다섯 개라는 데서 붙은 이름이다. 오형제산 또는 다섯뫼라고도 불린다.

[자연 환경]

오봉산은 현재와 같이 삼각주가 형성되기 이전에는 다섯 개의 섬이었던 곳이 퇴적으로 서낙동강변의 다섯 개의 봉우리가 된 것이다. 오봉산 최고봉에는 대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어 죽도(竹島) 또는 죽도산이라고도 부른다. 오봉산강서구의 넓은 평야 지역에 솟은 산으로, 동쪽에는 서낙동강이 흐르고 강 건너에는 덕도산이 있다.

[현황]

오봉산 봉우리 중 최고봉의 고도는 약 45m이다. 오봉산은 김해 삼각주 평야에 솟은 산으로 죽도모연(竹島暮煙) 오봉산(五峯山)[저녁연기에 가린 듯 은은한 죽도의 다섯 봉우리 산]이라 하여 강서 팔경 중 하나로 꼽힌다. 위치적 특성으로 임진왜란 당시 왜군에 의해 죽도성[부산광역시 문화재 기념물 제47호로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을 함락시킨 왜장 나베시마 나오시게[鍋島直茂]와 그의 아들이 쌓고 수년간 주둔하였다고 전함]이 축조되었으며, 현재는 능선을 따라 왜성의 성벽 일부가 남아 있다.

산 중턱에는 문수사라는 사찰과 충혼비[6·25 전쟁 당시 참전하여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이 마을 출신 장병을 기념하는 비]가 있고, 산기슭을 따라 가락초등학교가락중학교, 부산산업과학고등학교가 있으며, 정상에는 마을 공동묘지가 있다. 산 서쪽으로 죽림 마을, 동쪽으로는 봉하 마을이 있으며, 동쪽 서낙동강에는 강동교가 있다. 오봉산 일대는 개발 제한 구역이었으나, 2002년부터 그린벨트가 해제되어 소규모 공장, 창고 등 근린 시설이 무분별하게 들어서며 난개발의 문제가 발생해 2012년 6월부터 1년 6개월간 개발 행위 제한 대상 지역이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