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2758 |
---|---|
한자 | 釜山保健大學校 |
영어의미역 | Busan Health University |
이칭/별칭 | 부산보건대학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사하구 사리로55번길 16[괴정동 산15-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임채준 |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
[교육 목표(교훈 포함)]
건학 이념은 ‘진리(眞理)·정의(正義)·창의(創意)의 교시(敎是)와 무한불성(無汗不成)[땀을 흘리지 않으면 성공은 없다]의 동주 정신을 바탕으로 참되고 바르고 창의적인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능력과 품성을 기르고자 한다’이다. 교훈은 ‘진리, 정의, 창의’이다.
[변천]
1977년 7월 30일에 석파학원이 설립되었으며, 정종섭 박사가 초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1978년 2월 16일에 동주여자실업전문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가정과, 보육과, 의상과, 상업 디자인과, 관광과, 전자 계산과의 6개 학과, 학생 정원 480명이었다. 이후 1979년 1월 1일부로 동주여자전문대학으로 개편을 인가받고, 초대 학장으로 정종섭 박사가 취임하였다. 1998년 5월 1일에는 동주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여 남녀 공학으로 개편되었으며, 2011년 12월 6일에 동주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까지 총 4만 5000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2022년 11월 25일에 부산보건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보건대학교는 창의적이고 생산적이며 실용적인 전문 교육을 통하여 이론과 실무를 교수(敎授)·연구(創究)·개발(開發)하여 나라의 발전과 인류의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 직업인을 교육하는 데 전력하고 있다. 직업 전문인 양성을 위해 실기 위주의 교육 과정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실습실 교육 환경 구축에 매진하고 있다. 또한, 복지 수요에 발맞추어 2003년부터 보건 계열 특성화 대학으로 탈바꿈하고 있으며,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우수 대학, 특성화 지원 대학, 주문식 지원 대학, 교육 역량 강화 사업 지원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009학년도에는 취업률 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정종섭/작곡 석정자]
태백산 줄기 뻗어 남해를 안고/ 가야의 옛 정기 서린 복지에/ 아늑히 자리 잡은 우리의 모교/ 겨레의 앞을 비출 산업의 별들/ 빛내리라 내 조국 빛내리라/ 내 조국 부산보건대학교.
2. 교목: 느티나무이다. 느티나무는 동주인을 지켜 주는 신성한 나무임과 동시에 동주인이 대수(大樹)로 자라나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3. 교화: 목련이다. 어떠한 혹독한 시련도 이겨 내며 영원히 무궁한 발전을 이룩하는 부산보건대학교의 표상이다.
4. 상징: 황금독수리이다. 황금독수리는 독수리 중의 독수리로 민첩성과 예리함, 용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고귀함과 권위의 상징이며, 세계로 비상하는 부산보건대학교의 표상이다.
[현황]
2012년 기준 총 30개 계열 및 학과, 입학 정원 1,605명의 편제 정원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과 과정은 2년제와 3년제로 구분된다. 5개 학부로서 보건 건강학부[간호과, 물리 치료과, 미용 계열, 보건 의료 행정과, 스포츠 재활과, 외식 조리 제과 계열, 의료 공학과, 응급 구조과, 작업 치료과, 재활 요양 관리과, 치위생과], 국제 관광학부[의료 관광 일어과, 전시 이벤트 연출과, 항공 운항과, 항공 항만 부역과, 호텔 관광 계열], 교육 복지학부[사회 복지과, 유아 교육과, 유아 특수 재활과], 디자인·미디어학부[광고 시각 디자인과, 방송 영상과, 실용 음악과, 크루즈 해양 인테리어과, 패션 뷰티 디자인과, 패션 스타일리스트/쥬얼리과, 패션 코디&디스플레이과], 공학부[사이버 경찰 행정과, 의료 전산 시스템과, 자동차 튜닝과]로 나누어진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10만 2236㎡로, 이 중 건축 면적이 1만 5,154㎡, 건축 연면적이 7만 2589㎡[지하 1만 2996, 지상 5만 9593], 운동장 면적이 1만 4818㎡[다목적 구장 2면, 농구장 1면, 족구장 1면]이다. 본부동, 강의동, 실습동, 체육관, 기숙사, 학생회관, 인조 잔디 구장 등의 시설물을 갖추고 있으며, 부속 기관으로는 도서관, 박물관, 체육관, 국제 교류 센터, 특성화 사업단 등이 있고, 부설 연구소로 산업 디자인 연구소, 노인 보건 복지 연구소, 전통 도예 연구소 등이 있다. 부속 교육 기관으로는 동주여자고등학교, 동주여자중학교, 부속 유치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