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736
한자 東義大學校
영어의미역 Dong-eui University
이칭/별칭 동의대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176[가야동 465-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영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립 종합 대학교
설립자 동의학원
전화 051-890-1114
홈페이지 동의대학교(http://www.deu.ac.kr)
인가 시기/일시 1976년 12월 31일 - 경동공업전문학교로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77년 3월 1일연표보기 - 경동공업전문학교로 개교
개칭 시기/일시 1979년 1월 10일연표보기 - 경동공업전문학교에서 동의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83년 9월 8일연표보기 - 동의대학에서 동의대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4년 - 대학원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9년 - 한의과 대학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 동의대학교 부속 한방병원과 양방 동의병원 개원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3년 3월 5일 - 김장수 입학[체육학과, 1987년 2월 25일 졸업, 가수[1985년 제9회 MBC 대학 가요제 대상 수상]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6년 3월 3일 - 김윤석 입학[독어 독문학과, 1994년 2월 25일 졸업, 배우[영화 『타짜』, 『황해』, 『도둑들』 등 출연]]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3년 3월 2일 - 최상현 입학[산업 디자인과, 2001년 2월 23일 졸업, 디자이너[뽀로로 캐릭터 디자인]]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9년 3월 2일 - 손시헌 입학[체육학과, 2003년 2월 21일 졸업, 야구 선수[두산베어스]]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0년 3월 2일 - 윤성환 입학[체육학과, 2004년 2월 20일 졸업, 야구 선수[삼성라이온즈]]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2년 3월 4일 - 오은석 입학[체육학과, 2006년 2월 24일 졸업, 펜싱 선수[2012 런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펜싱 사브르 단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6년 3월 2일 - 김영주 입학[행정학과, 2011년 2월 18일 졸업, 국회 의원[선진통일당 비례대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6년 3월 2일 - 강경호 입학[체육학과, 2012년 8월 17일 졸업, 종합 격투기 선수[세계 3대 격투기 대회 UFC 진출 한국인 4호]]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8년 3월 3일 - 구본길 입학[체육학과, 2012년 2월 17일 졸업, 펜싱 선수[2012 런던올림픽 금메달리스트[펜싱 사브르 단체]]]
최초 설립지 경동공업전문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176[가야동 465-2]
현 소재지 동의대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176[가야동 465-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교.

[교육 목표]

교육 목표는 ‘진리를 탐구하는 지성인, 정의를 구현하는 지도자, 창의를 실현하는 세계인’이다.

[변천]

1966년 10월 22일 동의학원이 설립되어 1976년 12월 31일에 경동공업전문학교의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1977년 3월 1일에 경동공업전문학교로 개교하였다. 1979년 1월 10일에 동의대학으로 승격 개편되었으며, 1983년 9월 8일에 종합 대학교로 승격하여 동의대학교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84년에 대학원을 설치하였고, 1989년에 한의과 대학을 신설, 1990년에 동의대학교 부속 한방병원과 양방 동의병원을 개원하였다. 이후 교육 시설 확충, 학과 증설, 학생 증원 등의 발전을 거듭해 2015년 현재 9개 단과 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2년 8월까지 학사 6만 6843명, 석사 4,631명, 박사 540명 등 총 7만 201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동의대학교는 ‘동의지천(東義知天)’의 건학 이념을 바탕으로 대학 발전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21세기의 시대적·사회적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동북아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명문 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해 ‘창의, 인성, 글로벌화, 지역 선도’를 핵심 전략으로 하여 ‘국내 최고 수준의 교육 중심 대학, 동북아 시대를 선도하는 대학’의 발전 목표를 통해 ‘세계 도시 부산의 중심 대학, 창의적 글로벌 인재의 전당’이라는 비전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략 영역으로 지역 선도 대학 육성, 대학 운영 혁신, 대학 기반 자원 향상을 설정하여 그에 따른 구체적인 발전 전략과 세부 실행 과제를 마련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김임식/작곡 이상근]

하늘을 한 가슴에 푸르게 안고/ 산맥을 다스리며 꿈길 여는 곳/ 새 역사 문을 여는 학문의 요람/ 크나 큰 우리 보람 겨레의 자랑/ 영원 속에 진리의 뿌리내리고/ 진리 정의 창의를 피 속에 키워/ 동의대학교 그 품에 다 영광 다진다.

2. 상징 동물: 거북으로, 학생의 진취적인 기상과 웅지를 담고 있다. 또한 동의대학교의 무궁한 발전과 끈기 있는 도전을 상징한다.

[현황]

2014년 기준 동의대학교의 조직은 8처, 9개 단과 대학, 6개 대학원, 18개 부속 기관, 28개 부속 연구소, 한의과 대학 부속 한방 병원, 한의과 대학 부속 울산한방병원, 산학 협력단, 전포 종합 사회 복지관부산진구 건강가정지원센터, LINC사업단 등의 편제를 갖추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91만 8204㎡이며, 교사 면적은 총 22만 5922㎡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교육 기본 시설이 16만 2898㎡, 교육 지원 시설이 4만 3491㎡, 연구 시설이 8,481㎡, 특수 시설이 3,408㎡, 기숙 시설이 926㎡, 계열별 부속 시설이 4,610㎡, 기타 시설이 8,347㎡이다. 교직원은 전임 교원 582명, 비전임 교원 972명, 직원 250명, 조교 257명이 근무하고 있다. 2014년 학부의 입학 정원은 3,905명, 대학원의 입학 정원은 437명이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박** 개교한지 어언 40여년 찾아보기 어려울정도로 장족의 발전을 한 사학이다. 겉만 화려한 것이 아니라 진정 학생이 원하는 사업을 했으면 한다. 동의의료원을 확실한 종합병원으로 하고, 실력있고 유능한 교수를 채용하고 등교시 학생들이 편하게 스쿨버스를 더더많이 설치하고 캠퍼스를 더 넓혀 누구나 다니고 싶어하는 학교가 되었으면....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9.11.22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