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1094 |
---|---|
한자 | 南壽- |
영어의미역 | Namsu Village |
이칭/별칭 | 남수(南藪) 마을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남수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선석열 |
성격 | 자연 마을 |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동래군 남면 남수리로 통합 |
변천 시기/일시 | 1942년 - 부산부 수영출장소 수영동에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 부산부 수영출장소 수영리에서 부산시 수영출장소 수영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부산시 수영출장소 수영리에서 부산시 동래구 수영출장소 수영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시 동래구 수영출장소 수영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수영출장소 수영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75년 - 부산직할시 동래구 수영출장소 수영동에서 부산직할시 남구 수영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남구 수영동에서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으로 개편 |
자연 마을 | 남수 마을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남수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남수(南壽) 마을은 남수(南藪) 마을이라고도 부르는데, 좌수영성 남쪽에 있는 숲이 많은 마을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형성 및 변천]
1740년(영조 16)경에 동래부 남촌면 동부리·서부리가 존재하였다. 1756년(영조 32) 동부리를 동일패동(東一牌洞)·동이패동(東二牌洞)·동삼패동(東三牌洞)으로, 서부리를 서일패동(西一牌洞)·서이패동(西二牌洞)·서삼패동(西三牌洞)으로 나누었다. 1832년(순조 32)에는 남촌면의 마을이 16개 리로 개편되었는데, 위의 동(洞)명을 리(里)명으로 변경하였다. 1899년(고종 36) 마을 이름을 각기 동일리·동이리·동삼리·서일리·서이리·서삼리로 바꾸었는데, 이것은 경상 좌도 수군절도사영의 수군들 거주처를 나눈 패(牌)가 1894년(고종 31) 군제 개편으로 좌수영이 혁파되면서 일반 마을의 리(里)로 변경된 것이다.
1904년(고종 41)에 남촌면을 남상면(南上面)[현 수영구]과 남하면(南下面)[현 남구]으로 나누었는데, 수영동은 남상면에 속하였다. 1914년 일제 강점기의 지방 제도 개편에 따라 남상면이 남면으로 개칭되고 위의 6개 마을은 남수리로 통합되었다. 1942년 부산부 수영출장소 수영동에 편입되었다가, 1957년 부산시 동래구에 속하였고, 1975년 부산직할시 남구가 신설되며 이에 속하였다가, 1995년 부산광역시로 개편되면서 수영구가 신설되어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남수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남수 마을은 수영 사적 공원 남쪽에서 수영로 사이 평지에 위치한다. 동쪽은 수영강이 흐르고 있다. 남쪽에는 대천(大川)이 흘렀는데, 지금은 수영로로 복개되었다.
[현황]
남수 마을은 수영동의 대부분을 이루며, 좌수영성 남문에서 남쪽으로 주택가로 조성되어 있다. 이 지역은 조선 후기 부산 지역에 있었던 동래 읍내장(邑內場)[2·7일], 부산장(釜山場)[4·9일], 독지장(禿旨場)[1·6일], 하단장(下端場)[3·10일]과 더불어 부산의 대표적인 5일장이었던 좌수영장(左水營場)[5·10일]이 열리던 곳으로, 이 중 일부가 팔도 시장으로 변화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