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백 수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417
한자 冬柏隨筆
영어음역 Dongbak Essays
영어의미역 Camellia Essay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연속 간행물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은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동인지
발행인 동백수필문학회
판형 신국판[15.2×22.5㎝]
총호수 제23집[2011년]
창간 시기/일시 1989년연표보기 - 창간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 60-1]
소장처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176[가야동 465-2]지도보기
제작|간행처 『동백 수필』 간행처 - 부산광역시

[정의]

부산광역시의 동백수필문학회가 발간하는 동인지.

[창간 경위]

동백수필문학회는 1987년 동백문학회의 수필 분과에서 회장 오승희, 총무 권대근을 주축으로 하여 독립한 동인이다. 1988년 『동백 수필 문학선』1과 1989년 『동백 수필 문학선』2를 발간한 동백수필문학회가 1989년 동인들의 창작열 고취와 부산의 수필의 질적 성장을 목표로 『동백 수필(冬柏隨筆)』을 발간하였다.

[형태]

신국판[15.2×22.5㎝] 형태이다.

[구성/내용]

주로 소속된 동인들의 수필 작품을 싣는 수필집으로 1993년 발간된 제8집에는 동인들의 작품 외에, 국제간의 문화 교류 일환으로 연변 작가 3인선을 초대석에 실기도 하였다. 2009년 발간된 『동백 수필』 제21집에는 열두 명의 동인 작품 열두 편이 실렸다.

[변천과 현황]

『동백 수필』에 작품을 선보인 주요 동인으로 강규인, 강숙련, 김도우, 김원순, 김종희, 남지은, 송명화, 송연희, 안귀순, 윤자명, 장한일, 조재흥, 하현숙, 황원준 등이 있다. 매년 1회 발행되며, 2011년까지 제23집을 냈다.

[의의와 평가]

20년 넘게 발간해 온 부산을 대표하는 수필 동인지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