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800 |
---|---|
한자 | 新左水營- |
영어의미역 | Sinjwasuyeong Villa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신좌수영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표용수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부산광역시 수영구에 있는 좌수영은 울산 개운포에 있던 경상 좌도 수군절도사영(慶尙左道水軍節度使營)이 감만이포로 옮겨졌다가, 현재의 위치로 이설하며 신좌수영(新左水營)이라고도 불렸다. 신좌수영으로 가는 어귀 부근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신좌수영 마을이라고 불렀다.
[형성 및 변천]
신좌수영 마을은 형성 시기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으나, 그 명칭으로 추정할 때 1652년(효종 3) 수영구의 좌수영이 이설되던 시기에 붙여진 이름임을 알 수 있다. 1910년 동래군 서면의 양정리에서 부산부로 편입되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동래군 서면 양정동에 편입되었다. 1936년 4월 부산부 부산진출장소에 편입되었다. 1957년 구제(區制)가 시행되면서 부산진구에 속하였다. 1970년 양정 1동·양정 2동으로, 1979년 양정 1동이 양정 1동·양정 3동으로, 양정 2동이 양정 2동·양정 4동으로 분동되었다. 1995년 양정 3동이 양정 1동에, 양정 4동이 양정 2동에 통합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자연 환경]
신좌수영 마을은 북쪽으로 황령산이 있고, 북동쪽으로 황령산 북서쪽 능선인 전포동에서 동래 쪽으로 넘어가는 고개인 모너머 고개[신좌수영 고개, 마비현(馬飛峴) 또는 마비치(馬飛峙)]가 있다. 황령산에서 발원한 양정천이 북동쪽으로 흘러 마을 북쪽의 온천천으로 합류하였으나 현재는 모든 구간이 복개되었다.
[현황]
신좌수영 마을은 송상현 동상 인근에 있던 자연 마을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주택지가 조성되면서 옛 마을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송상현 동상, 양정동우체국, 양성초등학교, 대원 칸다빌 멤버스 아파트 등이 있다. 또한 부산 도로 교통의 대동맥인 중앙로와 거제로가 교차하고, 중앙로 아래에는 도시 철도 1호선이 지나가는 사통팔달 교통의 요충지이다. 중앙로 가운데에 송상현 광장이 조성되어 2014년 5월 22일 개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