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237
한자 上麻-
영어의미역 Sangma Village
이칭/별칭 상마리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상마1길 28[청룡동 8통] 상마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진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가구수 46가구
인구(남, 여) 91명[남 51명|여 40명]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75년 - 동래구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88년 1월 1일 - 동래구에서 금정구로 분구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금정구 청룡동 상마 마을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상마 마을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9년 - 룡동과 노포동 통합하여 행정동인 청룡노포동 설치
자연 마을 상마 마을 - 부산광역시 금정구 상마 1길 28[청룡동 8통] 상마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범어사에 삼베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곳에 마(麻)를 심어 처음에는 마지(麻旨)라고 하였는데, 마지 중 위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상마(上麻) 또는 상마전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상마(上麻) 마을이 속한 청룡동은 청룡 마을, 용승 마을, 마지 마을 3개로 구성되어 있었다. 상마 마을에 대한 기록은 확인할 수 없고, 상마 마을이 속한 청룡동에 대한 기록은 『영남읍지(嶺南邑誌)』[1895]의 『동래부 사례(東萊府事例)』에 북면 청룡리로 처음 나타난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는 청룡동(靑龍洞)에 김씨(金氏) 11호, 안씨(安氏) 9호, 조씨(曺氏) 1호, 윤씨(尹氏) 3호, 문씨(文氏) 2호, 오씨(吳氏) 1호, 이씨(李氏) 3호, 최씨(崔氏) 1호, 나씨(羅氏) 1호, 박씨(朴氏) 1호로 33호가 거주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1963년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에 속하였다가 1975년 동래구로 편입되었으며, 1988년 1월 1일 동래구에서 분구되어 금정구의 관할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상마 마을이 되었다. 1999년 청룡동노포동을 통합하여 행정동인 청룡노포동이 설치되었다.

[자연 환경]

상마 마을금정산의 고도 200m가량의 도친골[도침골]이라는 골짜기에 형성되어 있으며, 마을의 남동쪽에는 남산이 있다. 마을은 범어천의 상류에 해당하는데, 남서쪽의 산기슭에서 흘러내리는 계곡수가 북서쪽으로 흘러 내려 범어천(梵魚川)[금정산 고당봉과 계명봉 골짜기에서 흘러내림]과 합류하여 남동쪽으로 흘러간다. 마을의 입구에는 부산 범어사 등나무 군락[천연기념물 제176호]이 있는데, 흰 구름과 같이 운경을 이루고 그 향기가 매우 좋아 예로부터 등운곡이라 불렀다.

[현황]

2012년 4월 현재 상마 마을 인구는 46가구에 총 91명으로 남자가 51명, 여자가 40명이다. 개발 제한 구역으로 많은 제한을 받고 있으나, 건물 대부분이 현대식으로 개조되었으며, 주민 대부분이 음식점을 운영하고 있다. 주변에 범어사, 범어사 사자암, 만성암, 관음정사, 금정산성 등이 있으며, 범어사에서 내려오는 범어로에 1994년부터 각종 기념비, 시비, 문학비, 그림비 등으로 문화 거리를 조성하였다. 마을 입구 범어로 변에 부산 문학의 거봉으로 일컬어지는 요산(樂山) 김정한(金廷漢)[1908~1997] 문학비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