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767 |
---|---|
한자 | 無形文化財傳授學校 |
영어의미역 | Specialized School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
이칭/별칭 | 문화재 전수 학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상재 |
[정의]
부산의 무형 문화재 전수를 위하여 부산광역시가 지정한 각급 학교.
[개설]
무형 문화재 전수 학교는 부산광역시가 1982년부터 소중한 문화유산인 부산 지역의 전통 민속 예술을 계승·발전시키고자 초·중·고 학생들의 무형 문화재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정한 학교이다. 이를 ‘문화재 전수 학교’라고도 한다. 부산광역시에서 지정한 무형 문화재를 구·군별로 선정하고, 구·군 관내의 각급 학교를 대상으로 지정한다. 시와 각 자치구·군에서 전승 보조금을 50%씩 지급하며, 해당 학교의 전수 팀에 학생 1인당 연간 15만 원씩 지급하고 있다.
[전수 문화재 현황]
1982년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에 「동래 야류」, 「동래 학춤」, 「동래 지신밟기」 등을 전수하도록 지정한 이래 「부산 농악」, 「수영 야류」, 「좌수영 어방놀이」, 「수영 농청 놀이」, 「다대포 후리 소리」, 「가야금 산조」, 「동래 고무」, 「충렬사 제향」, 「부산 고분도리 걸립」 등 총 12개의 무형 문화재에 대한 전수 학교가 지정되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전수 학교 현황]
2012년 현재 부산광역시 내의 초등학교 8개교, 중학교 2개교, 고등학교 11개교, 전문 대학 2개교, 종합 대학교 3개교 등 총 26개교 팀에 전수가 지정되어 있으며, 중구와 동구를 제외한 14개 자치구·군에 분포해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