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579 |
---|---|
한자 | 靈山大學校 |
영어의미역 | Youngsan University |
이칭/별칭 | 영산대,영산대학교 해운대캠퍼스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순환로 142[반송동 248]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영호 |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사립 대학.
[교육 목표(교훈 포함)]
‘홍익인간(弘益人間)과 원융무애(圓融無碍)[만물과 하나 되어 걸림이 없음]’의 건학 이념을 바탕으로 ‘실사구시(實事求是)[사실을 토대로 진리를 탐구]적 학풍 구현과 동양 문화의 세계화’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변천]
1996년 12월 11일에 성심학원[1973년 6월 20일 설립] 산하 영산국제산업대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12월 16일부터 입학 원서를 교부하고 신입생을 모집하였다. 1997년 2월 15일에 박사 정천구를 초대 총장으로 임명하고, 같은 해 3월 10일에 영산국제산업대학교로 개교하였다. 개교 당시 지역 통상학부, 경영 정보학부, 디자인학부의 3개 학부와 미주 지역 통상학과, 유럽 지역 통상학과, 아시아 지역 통상학과, 컴퓨터 공학과, 전자 계산학과, 경영 정보학과, 호텔 경영학과, 광고 디자인학과 등 총 8개 학과에 940명이 입학하였다. 같은 해 10월에 국제 관계학과, 미디어 경영학과, 조형 미술학과, 실내 디자인학과 등 4개 학과를 신설하였다.
1998년 5월 1일에는 영산국제산업대학교에서 영산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8년 10월에 학부제로 개편하여 국제학부, 통상학부, 경영학부, 호텔 관광학부, 법률 행정학부, 언론 광고학부, 컴퓨터 정보 공학부, 디자인 학부 등 8개 학부에 24개 전공을 개설하였으며, 1999년 2월에 제1회 학위 수여식을 거행하였다. 같은 해 10월에 건축 공학부와 멀티미디어 공학부가 신설되었고, 그해 11월에는 특수 대학원으로서 법무 대학원과 호텔 관광·경영 대학원이 설립되었다. 2000년 7월에는 컴퓨터 정보 통신 대학원이, 그해 10월에는 생활 스포츠학부가, 그리고 2002년 3월에는 정보 통신 공학부가 각각 신설되었다. 동년 10월 15일에 영산대학교는 성심학원이 1983년 3월 1일에 개교해서 운영하여 오던 성심외국어대학과 통합하여 부산캠퍼스 개교에 관한 인가를 얻었다.
2005년 12월에 산업 대학교에서 일반 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2007년 3월에는 최초로 일반 대학원 박사 과정을 부동산학과에 개설하였다. 2008년 8월에는 간호학과와 물리 치료학과, 2009년 7월에는 치위생학과가 각각 신설되었다. 2010년 3월에는 일반 대학원 박사 과정이 미용 예술학과에 개설되었고, 2011년 3월에는 호텔 관광 경영학과에 개설되었다.
[교육 활동]
영산대학교는 1999년 8월에 중소기업청 지정 인터넷 창업 보육 센터 사업자로 선정되었고, 사회 교육원 설립에 관하여 교육부로부터 인가를 획득하였다. 2000년 1월에는 멀티미디어학부가 정보통신부 지원 대상 학부로 선정되었으며, 2001년 2월에는 컴퓨터 정보 통신 대학원이 정보통신부 지원 대상 대학원으로 선정되었다. 2002년 11월에는 지방 대학 육성 사업 대상 대학으로 선정되었고, 2003년 12월 31일에는 정보 통신 대학원이 정보통신부 장관의 표창을 받았다. 2006년 2월에 평생 교육원이 학점 은행 평가 인정 기관으로 승인되었다. 2007년 6월에는 NURI 사업에서 대형 사업 1개에 선정되었고, 2009년 5월에 평생 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에 선정되었으며, 그해 9월에는 취업 프로그램 품질 경영 인증[ISO 9001 인증]을 획득하였다. 2010년에 NURI 사업에서 추가로 소형 사업 2개가 선정되었으며, 2012년 4월에는 산학 협력 중점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박용숙/작곡 박재성]
천성산 금수 자락 우뚝 선 진리 탑/ 백두 영산 큰 정기 여기에 맺혔네/ 둥글고 걸림 없이 만물을 이롭게/ 영산에서 세운 뜻 세계로 펼치네/ 오라 배움의 터로 어깨를 나란히 가자/ 서로의 길로 모두를 위하여/ 유구하리라 우리의 모교 영산 영산 영산/ 유구하라 영산대학교.
2. 교표: 정중앙에 자리 잡은 영산(靈山)은 크게 두 가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첫째는 한민족의 서기 어린 영산인 백두산을 뜻한다. 우리 한민족에게 백두산은 민족의 상징이자, 민족정신의 샘터이다. 민족의 상징으로서 백두산은 단군 성조의 건국 이념인 홍익인간의 정신으로 표상된다. 안쪽 원 위쪽의 ‘1983’은 성심외국어전문대학이 설립된 해로, 2003년 영산대학교와 합병됨으로써 폐교된 성심외국어전문대학의 정신과 역사를 승계하고자 하였다. 안쪽 원 아래쪽의 ‘1997’은 영산대학교가 개교한 해이다. 영문의 교명 안쪽의 원은 인간 세계[지구]를 상징한다. 우주를 상징하는 바깥 원을 감싸고 있는 연꽃 문양은 보살행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광명과 지혜와 공덕을 상징한다.
[현황]
2012년 5월 기준 대학 교육 기관은 총 42개의 학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부생은 총 6,848명, 대학원생은 총 213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전임 교원 232명, 조교 61명, 그리고 일반직 및 기능직 총 102명이 근무하고 있다. 영산대학교 부산캠퍼스의 교지 면적은 8만 2625㎡, 건물 총면적은 5만 8936㎡이며, 영산대학교 양산캠퍼스의 교지 면적은 19만 7843㎡, 건물 총면적은 7만 9245㎡이다. 대학 행정 기관은 총장 직속 기관, 대학 본부, 부속 기관, 산학 협력 기관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대학 본부는 5처 1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 교육 기관으로는 8개 단과 대학, 2개 대학원, 자유 전공 학부, 연구 시설, 기타 시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과 대학으로는 호텔 관광 대학, 외국어 대학, 문화 산업 대학, 법과 대학, 법경 대학, 공과 대학, 체육 대학, 보건 의료 대학이 있으며, 대학원으로는 일반 대학원과 특수 대학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부속 기관으로는 중앙 도서관, 전산 정보원, 공동 실험 실습관, 박물관, 방송국, 대학 신문사, 평생 교육원, 국제 교류 센터, 정보 교육원, 생활관, 공학 교육 혁신 센터 등이 있다. 연구 시설로는 국제학 연구소, 아프리카 연구소, 인도 연구소, 베트남 연구소, 영어 교육 연구소, 중국 연구소, 인도네시아 연구소, 산업 디자인 개발 연구소, 건강 과학 연구소, 제품 개발 연구소, 컴퓨터 정보 통신 연구소, 지역 발전 연구원, 약선 연구소, 부동산 연구소, 주택 도시 연구소, 컨벤션 관광 연구원, 의료 관광 경영 연구소, 글로벌 물류 연구소, 모바일 미디어 연구소, 옻칠 예술 산업 연구소, 아시아 디자인 연구원, 홍익 행정 연구원, 동양 문화 연구원, 동양 무예 연구소 등이 있다.
산학 협력 기관으로는 산학 협력단 산하에 그린창업보육센터, 지식 창업 보육 센터, 글로벌 융합 콘텐츠 센터, 체감형 가상 현실 연구소, 디지털 콘텐츠 융합 기술 연구소, 미용 연구 센터, 국제 HRD 협력 센터, 글로벌 무역 인력 양성 사업단, 학교 기업 등이 있다.